'친박' 서청원, 지방선거 참패 책임론에 밀려 탈당

20대 총선 패배·최순실 국정농단 당시엔 '버티기'
서 의원 측 "정계은퇴 선언아냐…걸림돌 안되겠다"

친박(친박근혜)계의 '맏형'으로 통하던 자유한국당 서청원 의원이 6·13 지방선거 참패에 따른 거센 후폭풍으로 결국 탈당을 선택했다.서 의원은 20일 "국민의 분노를 자초한 보수진영 정치인들의 책임이 크다.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며 "오늘 오랫동안 몸을 담고 마음을 다했던 당을 떠난다"며 탈당을 전격 선언했다.

서 의원은 조선일보 기자로 일하다, 1980년 선명성이 떨어져 '관제야당'으로도 불린 민주한국당 선전분과 부위원장으로 정계에 발을 들여 이듬해 서울 동작구에서 제11대 국회의원에 당선됐다.이후 민주화추진협의회에 참여하면서 김영삼(YS) 전 대통령과 정치적 진로를 함께하는 상도동계에 몸담았고, YS 정부 시절 정무 제1장관 등 여권 내 요직을 거치기도 했다.

또한 옛 YS 통일민주당, 이후 YS의 3당합당 합류에 따라 탄생한 민자당, 신한국당 등 현재의 한국당으로 이어지는 정당을 간판으로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해 지금의 8선 의원에 이르렀다.

서 의원은 20대 국회의 최다선 의원이기도 하다.서 의원이 '친박계 핵심'으로 자리매김한 것은 지난 199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1998년 대구 달성군 국회의원 재보선에 출마할 당시 서 의원은 한나라당 사무총장으로서 공천에 관여했고, 2002년 박 전 대통령이 '이회창 리더십'에 반발, 한나라당을 탈당했을 때도 끈끈한 관계를 유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박 전 대통령은 2004년 서 의원이 불법 대선자금으로 옥고를 치를 때도 자주 면회를 가는 등 각별한 정성을 기울였고, 서 의원은 2007년 대선 때부터 본격적으로 '박근혜 대통령 만들기'에 공을 들였다.박 전 대통령이 대선후보 경선에서 패배한 후 이듬해인 2008년 18대 총선에서 친박계 인사들이 줄줄이 낙천하자, 서 의원은 '친박연대'를 출범시키기도 했다.

이후 총선 과정에서는 공천헌금을 받은 혐의로 기소돼 2009년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고 복역하던 중 이듬해 광복절 특사를 통한 사면복권으로 정치권에 재등장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 이후에는 친박계 맏형으로서, 때로는 친박계 좌장 역할을 하며 서 의원의 정치적 위상은 더욱 막강해졌다.
그러나 2016년 20대 총선 공천에 친박계가 개입했다는 의혹과 함께 '막장 공천으로 인한 총선 패배'의 책임론에까지 내몰렸다.

서 의원은 당 안팎으로부터 용퇴 압박을 받으면서도 버텨왔지만, 최순실 국정농단으로 박 전 대통령과 함께 정치적 몰락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정권 핵심 실세로서 국정농단의 책임을 지고 당은 물론 정계를 떠나라는 여론은 날로 치솟았다.

그렇지만 서 의원은 인명진 당시 비대위원장과 정면으로 충돌하면서까지 탈당하지 않겠다고 버텼고, '당원권 3년 정지' 징계를 받았다.

또 지난해 7월 '홍준표 체제' 출범 이후에도 인적청산을 앞세운 홍 전 대표와도 자신의 거취를 놓고 감정 섞인 공방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끝내 탈당 압박에 응하지 않았다.

그러나 보수진영 전체가 벼랑 끝에 몰리는 6·13 지방선거 최악의 참패 앞에서는 버텨낼 재간이 없었다.

당 안팎에서는 '친박의 목을 쳐야 한다', '보수몰락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등 목소리가 커졌고, 결국 그는 탈당을 택했다.

그러나 정계은퇴나 불출마 선언이 아닌 '탈당 카드'를 꺼내 든 것은 일단 2선으로 물러나되, 보수세력을 수습하는 데 여전히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서 의원 측 관계자는 "뽑아준 지역구 주민들이 있는데 지금 정계은퇴 선언을 할 수는 없다.사실상 21대 총선에는 불출마하겠다는 것"이라며 "후배들이 당을 개혁하는 게 걸림돌이 되고 싶지 않아 탈당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