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까지… 정부 주도 'AI 프로젝트' 추진한다
입력
수정
지면A12
한경 바이오헬스포럼정부가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시험까지 신약 개발 모든 과정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약바이오회사를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희귀난치성 질환에만 활용할 수 있었던 유전자 치료 범위를 다른 질환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연구 전담하는 병원·의사 양성
유전자 치료 범위 확대도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은 27일 서울 반포동 쉐라톤팔래스강남호텔에서 열린 한경 바이오헬스포럼 정책토론회에서 “AI, 빅데이터 등 다양한 학문 간 융합을 강화해 바이오 연구개발(R&D)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연구병원, 연구의사를 양성하고 병원 중심 산학연 협업을 위해 의사와 병원 혁신이 중요하다”며 “다음달 의료산업 혁신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2만6000개 수준인 바이오기술 기반 일자리를 2025년 14만5000개까지 늘리는 ‘바이오경제 2025’ 대책을 발표했다. 이 차관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신약 개발에 활용하는 등 R&D 혁신에 150억원을 투입할 것”이라고 했다.
과기정통부는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제도 개선 방안도 밝혔다. 서경춘 과기정통부 생명기술과장은 “내년 9월께 과기정통부뿐 아니라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유관 부처가 참여해 ‘AI를 활용한 신약개발 제도 개선 방안’을 시행할 것”이라며 “후보물질(파이프라인) 발굴, 임상시험 환자 모집, 독성 평가 등 신약을 개발할 때 거치는 15가지 단계에서 기업이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R&D 장려, 규제 개선, 전문인력 양성 등 전 분야에 걸쳐 지원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과기정통부는 사업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화학연구원이 축적한 약 50만 건의 화합물 데이터를 AI로 분석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AI를 활용해 신약 파이프라인 발굴 속도를 높일 수 있을지 등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파이프라인 발굴을 위한 AI 알고리즘 개발도 추진한다. AI가 개발되면 이를 민간 기업에 공개해 이용토록 할 계획이다. 정부는 신약 개발 단계마다 AI를 활용하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화합물 독성 평가 등을 정확하게 해 최종 개발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규제 개선도 추진한다. 유전자 치료나 뇌 연구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계획이다. 오호정 식품의약품안전처 유전자재조합의약품과장은 “제품 개발부터 사업화까지 모든 과정에 필요한 통합의료정보 제공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