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수 단장·김빛내리 교수 '동아시아 스타 과학자'

국제학술지 네이처 선정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과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IBS RNA연구단장)가 동아시아에서 가장 촉망받는 스타 과학자에 선정됐다.

김빛내리 교수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7일 ‘동아시아 과학의 스타’라는 제목의 특집 기사에서 세계적 유전자 교정 전문가인 김진수 단장과 RNA(리보핵산)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업적을 내고 있는 김빛내리 교수 등 동아시아 과학자 10명을 소개했다.

김 단장은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UC버클리 교수, 펑장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와 함께 3세대 유전자 교정 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9) 기술의 권위자다. 유전자가위는 생명 정보를 담은 DNA를 구성하는 염기를 마치 책 내용을 편집하듯 자르고 붙여넣는 기술이다.

네이처는 김 단장이 2013년 세계 최초로 살아있는 세포의 유전자 교정에 성공한 데 이어 지난해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 교수와 함께 세계 처음으로 돌연변이 유전자를 가진 배아(수정란)를 교정하는 데 성공했다고 소개했다.
김진수 단장
김 단장은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잦은 기근으로 인한 북한의 기아 문제에 유전자가위가 활용된다면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며 “국제사회와 북한의 외교관계가 호전되면서 북한 학생들이 함께 연구에 참여하면 이들이 돌아가 빠르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처는 ‘RNA 탐험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연구비도 학생도, 경험도 전무한 환경에서 시작해 미개척 연구 분야인 마이크로RNA 연구에서 세계적 성과를 내고 있는 김 교수의 활약도 소개했다.그가 대학원 시절 연구 대상이던 곰팡이나 바이러스를 뒤로하고 새 분야인 miRNA 연구에 도전하게 된 것은 전적으로 부족한 연구비 때문이었다고 전했다. 비용이 좀 더 적게 들고 창의적인 연구를 설계하면서 생명 현상을 조절하고 유전자 발현을 막는 miRNA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작용을 하는지 어려운 문제에 도전했다고 네이처는 설명했다.

네이처는 지금은 스타 여성 과학자인 김 교수가 한때 경력단절 여성 과학자가 될 뻔했다는 사례를 소개하며 여성 과학자 비율이 19%인 한국 과학계에 중요한 롤모델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