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석유 외 잘 나가는 품목 없어…수출경쟁력 우려
입력
수정
통상압박 등 불안요인 지속…하반기 수출 증가율 둔화 전망
지난 5월 반등한 수출이 6월에 다시 주춤하면서 수출이 하락세에 진입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정부는 월별 등락에도 올해 수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지만, 반도체 편중과 자동차·선박을 비롯한 주력 산업 부진 등 수출구조의 취약성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6월 수출이 512억3천만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0.089% 감소한 것이다.올해 수출 증가율을 월별로 보면 1월 22.3%, 2월 3.3%, 3월 6.0%, 4월 -1.5%, 5월 13.2%, 6월 -0.089%다.
산업부는 6월 수출이 감소한 이유로 조업일이 1.5일 줄었고 작년에 대규모 선박 수출(73억7천만달러)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선박은 배를 다 만들고 고객에 인도하는 시점에 수출 실적으로 잡힌다.건조에 2년 정도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작년 수출은 조선업황이 좀 더 나았을 때 수주한 물량이다.
올해에는 2016년 수주 가뭄 때문에 선박 수출이 매우 저조하다.
이 같은 기저효과를 고려하더라도 불안한 요인이 곳곳에 눈에 띈다.수출 증가가 우리 기업의 자체 경쟁력보다는 세계 경기 회복, 반도체 경기 호황, 국제유가 상승 등에 기인한 면이 있기 때문이다.
이미 경고등은 들어오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시행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에서 기업들은 수출이 전달보다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코트라의 수출선행지수에서도 가격경쟁력 평가지수가 9분기 연속 기준치를 하락했다.
한국무역협회는 올해 수출 증가율이 상반기의 6.4%에서 하반기 4.6%로 낮아지면서 연간 5.5%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작년 수출 증가율 15.8%의 3분의 1 수준이다.
그동안 수출을 견인한 반도체마저 하반기에는 수요 둔화가 예상된다.
산업연구원은 하반기 반도체 수출 증가율이 상반기 42.5%보다 둔화한 15.9%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정보기술(IT) 경기 호황에 힘입은 반도체·컴퓨터와 유가 상승 혜택을 본 석유화학·석유제품을 제외하면 수출을 견인하는 품목을 찾기 힘들다.
올해 상반기 13대 주력품목 중 반도체(42.9%), 컴퓨터(38.6%), 석유제품(33.7%), 석유화학(13.2%), 일반기계(9.6%), 섬유(5.5%) 등 6개 품목이 증가했다.
철강(-0.3%), 자동차부품(-2.5%), 자동차(-5.6%), 디스플레이(-15.7%), 가전(-18.2%), 무선통신기기(-17.8%), 선박(-55.0%) 등 7개 품목은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발 통상압력, 미중과 미·EU 통상분쟁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확산, 미국의 금리 인상 가속에 따른 신흥국 경기불안 등 수출 불안요인은 하반기에도 계속된다.
정부도 수출을 낙관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지난달 26일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수출이 상승 가도를 달릴 수 있었던 배경에는 대내외 여건이 순풍으로 작용했던 점을 부인할 수 없다"며 "이러한 요인들의 영향이 점차 둔화할 것으로 보이면서 한동안 질주하던 수출엔진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연합뉴스
지난 5월 반등한 수출이 6월에 다시 주춤하면서 수출이 하락세에 진입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정부는 월별 등락에도 올해 수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지만, 반도체 편중과 자동차·선박을 비롯한 주력 산업 부진 등 수출구조의 취약성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6월 수출이 512억3천만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0.089% 감소한 것이다.올해 수출 증가율을 월별로 보면 1월 22.3%, 2월 3.3%, 3월 6.0%, 4월 -1.5%, 5월 13.2%, 6월 -0.089%다.
산업부는 6월 수출이 감소한 이유로 조업일이 1.5일 줄었고 작년에 대규모 선박 수출(73억7천만달러)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선박은 배를 다 만들고 고객에 인도하는 시점에 수출 실적으로 잡힌다.건조에 2년 정도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작년 수출은 조선업황이 좀 더 나았을 때 수주한 물량이다.
올해에는 2016년 수주 가뭄 때문에 선박 수출이 매우 저조하다.
이 같은 기저효과를 고려하더라도 불안한 요인이 곳곳에 눈에 띈다.수출 증가가 우리 기업의 자체 경쟁력보다는 세계 경기 회복, 반도체 경기 호황, 국제유가 상승 등에 기인한 면이 있기 때문이다.
이미 경고등은 들어오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시행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에서 기업들은 수출이 전달보다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코트라의 수출선행지수에서도 가격경쟁력 평가지수가 9분기 연속 기준치를 하락했다.
한국무역협회는 올해 수출 증가율이 상반기의 6.4%에서 하반기 4.6%로 낮아지면서 연간 5.5%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작년 수출 증가율 15.8%의 3분의 1 수준이다.
그동안 수출을 견인한 반도체마저 하반기에는 수요 둔화가 예상된다.
산업연구원은 하반기 반도체 수출 증가율이 상반기 42.5%보다 둔화한 15.9%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정보기술(IT) 경기 호황에 힘입은 반도체·컴퓨터와 유가 상승 혜택을 본 석유화학·석유제품을 제외하면 수출을 견인하는 품목을 찾기 힘들다.
올해 상반기 13대 주력품목 중 반도체(42.9%), 컴퓨터(38.6%), 석유제품(33.7%), 석유화학(13.2%), 일반기계(9.6%), 섬유(5.5%) 등 6개 품목이 증가했다.
철강(-0.3%), 자동차부품(-2.5%), 자동차(-5.6%), 디스플레이(-15.7%), 가전(-18.2%), 무선통신기기(-17.8%), 선박(-55.0%) 등 7개 품목은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발 통상압력, 미중과 미·EU 통상분쟁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확산, 미국의 금리 인상 가속에 따른 신흥국 경기불안 등 수출 불안요인은 하반기에도 계속된다.
정부도 수출을 낙관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지난달 26일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수출이 상승 가도를 달릴 수 있었던 배경에는 대내외 여건이 순풍으로 작용했던 점을 부인할 수 없다"며 "이러한 요인들의 영향이 점차 둔화할 것으로 보이면서 한동안 질주하던 수출엔진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