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가장 많은 곳 울산… 노동시간 짧은 곳은 서울
입력
수정
노동부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 발간전국에서 노동자 평균 월급이 가장 많은 곳은 울산, 노동시간이 가장 짧은 곳은 서울로 조사됐다.고용노동부가 5일 공개한 2018년판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 책자에 따르면 작년 4월 기준으로 광역시·도별 월 평균 임금은 울산이 424만1천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394만2천원), 충남(359만5천원), 전남(355만원) 순이었다.
월 평균 임금이 가장 적은 곳은 제주(264만9천원)였다.노동부는 "중화학 제조업, 자동차산업 등이 밀집된 울산과 금융, 서비스업 본사가 위치한 서울의 임금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월 노동시간이 가장 짧은 곳은 서울(166.3시간)이었고 대전(168.7시간), 강원(172.2시간), 광주(172.2시간)가 뒤를 이었다.
월 노동시간이 가장 긴 곳은 경북(182.1시간)이었다.2016년 기준으로 지역별 총생산액은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이 전국의 49.4%를 차지했다.
반면, 광주, 대전, 강원, 전북은 각각 2%대의 낮은 수준이었다.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해 국내 15세 이상 취업자 수는 2천672만5천명으로 집계됐다.노동부는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상대적으로 고용이 안정적인 상용직을 중심으로 매년 30만∼40만명대 내외로 증가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노동부는 "상대적으로 고용이 안정적인 상용직 중심의 증가세가 지속하고 있으며 임시·일용직과 무급가족종사자는 감소 추세"라고 부연했다.
상용직 5인 이상 사업장의 지난해 월 평균 임금은 351만8천원이었고 노동시간은 167.8시간이었다.
노동부는 "매년 월 평균 임금은 꾸준히 증가하고 근로시간은 감소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여전히 컸다.
작년 6월 기준으로 정규직 노동자의 시간당 임금은 1만8천835원으로, 비정규직 노동자(1만3천53원)보다 44.3% 많았다.
월 노동시간은 정규직이 183.1시간, 비정규직이 125.1시간이었다.
청년층 노동자의 경우 시간당 임금은 1만2천179원이었고 월 노동시간은 159.5시간이었다.
지난해 노사분규는 101건으로, 전년(120건)보다 소폭 감소했다.
300인 이상 사업장의 노사분규는 53건이었고 300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48건이었다.
2016년 기준으로 한국의 15∼64세 고용률은 66.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국 중 21번째였다.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17.1%로, OECD 29개국 중 7번째였고 서비스업 취업자 비중(70.2%)은 19번째였다.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노동소득분배율도 OECD 순위에서 뒤처졌다.한국의 2016년 노동소득분배율은 63.3%로, OECD 28개국 중 21번째였다.
/연합뉴스
이어 서울(394만2천원), 충남(359만5천원), 전남(355만원) 순이었다.
월 평균 임금이 가장 적은 곳은 제주(264만9천원)였다.노동부는 "중화학 제조업, 자동차산업 등이 밀집된 울산과 금융, 서비스업 본사가 위치한 서울의 임금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월 노동시간이 가장 짧은 곳은 서울(166.3시간)이었고 대전(168.7시간), 강원(172.2시간), 광주(172.2시간)가 뒤를 이었다.
월 노동시간이 가장 긴 곳은 경북(182.1시간)이었다.2016년 기준으로 지역별 총생산액은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이 전국의 49.4%를 차지했다.
반면, 광주, 대전, 강원, 전북은 각각 2%대의 낮은 수준이었다.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해 국내 15세 이상 취업자 수는 2천672만5천명으로 집계됐다.노동부는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상대적으로 고용이 안정적인 상용직을 중심으로 매년 30만∼40만명대 내외로 증가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노동부는 "상대적으로 고용이 안정적인 상용직 중심의 증가세가 지속하고 있으며 임시·일용직과 무급가족종사자는 감소 추세"라고 부연했다.
상용직 5인 이상 사업장의 지난해 월 평균 임금은 351만8천원이었고 노동시간은 167.8시간이었다.
노동부는 "매년 월 평균 임금은 꾸준히 증가하고 근로시간은 감소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여전히 컸다.
작년 6월 기준으로 정규직 노동자의 시간당 임금은 1만8천835원으로, 비정규직 노동자(1만3천53원)보다 44.3% 많았다.
월 노동시간은 정규직이 183.1시간, 비정규직이 125.1시간이었다.
청년층 노동자의 경우 시간당 임금은 1만2천179원이었고 월 노동시간은 159.5시간이었다.
지난해 노사분규는 101건으로, 전년(120건)보다 소폭 감소했다.
300인 이상 사업장의 노사분규는 53건이었고 300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48건이었다.
2016년 기준으로 한국의 15∼64세 고용률은 66.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국 중 21번째였다.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17.1%로, OECD 29개국 중 7번째였고 서비스업 취업자 비중(70.2%)은 19번째였다.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노동소득분배율도 OECD 순위에서 뒤처졌다.한국의 2016년 노동소득분배율은 63.3%로, OECD 28개국 중 21번째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