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장 전망] "대출금리 0.5%p 오를수도… 취약대출 부실화 우려"
입력
수정
"美 금리 인상, 하반기 최대 이슈…한은도 기준금리 1차례 인상 전망"
"한미 금리역전 따른 시장불안 크지 않을 것…4차 산업혁명 중대 이슈"국내 5대 시중 은행장들이 하반기에 대출금리가 최고 0.5%포인트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또 금리 상승으로 취약차주나 한계기업의 상환 부담이 커져 대출이 부실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국내 5대 시중은행장들은 15일 연합뉴스와 서면 인터뷰에서 올해 하반기에 미국은 두 차례, 한국은행은 한차례 금리를 올릴 것으로 봤다.
이에 따라 시장금리가 올라 대출금리 상승도 불가피할 것으로 봤다.허인 KB국민은행장은 "여러 변수가 많지만 대출금리는 0.5%포인트 정도 오를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위성호 신한은행장과 이대훈 농협은행장, 함영주 하나은행장은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폭 만큼 대출금리도 오를 것이라며 0.25%포인트 상승을 예상했다.
반면 손태승 우리은행장은 "미국 금리 인상과 해외 장기금리의 상승으로 시장금리도 오르겠지만 그 폭은 평균 0.1%포인트 내외일 것으로 보인다"라며 "대출금리도 시장금리에 연동해 오르겠지만, 시장금리 상승 폭보다는 제한적일 것 같다"고 말했다.하반기 은행권 최대이슈로는 미국 금리 인상을 꼽았다.
미국 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도 오르면서 상환 부담이 커져 취약가구나 한계기업의 대출이 부실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은행 건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다.
이 행장은 가계부채에 대해 "시장금리가 오르면 다중채무자, 과다채무자, 저신용자 등 취약차주의 상환 불능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선제적인 리스크관리가 필요하다"고 우려했다.손 행장도 "국내 시장금리가 점진적으로 오를 것으로 보여 취약차주와 부동산 갭 투자자의 이자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장들은 다만 지난해부터 정부가 각종 가계부채 대책을 내놓으며 대응하고 있어 가계부채 전반의 부실로 이어지지는 않으리라고 내다봤다.
오히려 가계보다는 기업 부실을 우려했다.
함 행장은 "미중 무역전쟁과 환율 상승,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 도입 등 기업을 둘러싼 대내외 환경이 어려운데 금리마저 오르면 취약한 영세 소상공인과 소규모 기업들 사이에서 연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로 인해 하반기 기업대출시장은 예년보다 위축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위 행장도 "금리 상승과 경기 부진이 동반되면 연체나 부도로 이어지는 기업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손 행장은 "옥석 가리기를 통해 우량 기업을 지원하고 부실 징후 기업은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에 나설 것"이라고 답했다.
한미 금리역전 현상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은 크지 않으리라고 봤다.
허 행장은 "채권시장은 금리역전에도 외국인 자금 유입이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며 "주식시장도 심리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겠지만 이보다는 경기 상황에 따른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위 행장도 "과거사례를 보면 미국이 금리 이상 시기가 미국 경제 호황기여서 그에 따른 낙수효과로 한미 금리역전의 부정적 효과는 상쇄되곤 했다"고 말했다.
손 행장은 "우리 경제는 경상수지와 재정수지가 흑자이고 외환보유액이 충분하며 신인도도 안정적이어서 자본유출의 위험은 거의 없다"고 평가했다.
은행장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구조 변화를 은행권 중대 이슈로 봤다.
허 행장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디지털 전환이 은행업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며 "모바일뱅킹뿐만 아니라 인력, 프로세스, 문화 등 조직 전체에서 디지털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큰 이슈"라고 말했다.
함 행장도 "핀테크 확산과 비(非)은행 산업의 금융서비스 진출 등으로 전통적 금융산업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며 "기존 은행권의 디지털 혁신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이 밖에도 은행장들은 주 52시간 도입과 최저임금 인상, 미중 무역전쟁, 은행의 사회적 책임 이행 등을 하반기 은행권 주요 이슈로 꼽았다.
/연합뉴스
"한미 금리역전 따른 시장불안 크지 않을 것…4차 산업혁명 중대 이슈"국내 5대 시중 은행장들이 하반기에 대출금리가 최고 0.5%포인트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또 금리 상승으로 취약차주나 한계기업의 상환 부담이 커져 대출이 부실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국내 5대 시중은행장들은 15일 연합뉴스와 서면 인터뷰에서 올해 하반기에 미국은 두 차례, 한국은행은 한차례 금리를 올릴 것으로 봤다.
이에 따라 시장금리가 올라 대출금리 상승도 불가피할 것으로 봤다.허인 KB국민은행장은 "여러 변수가 많지만 대출금리는 0.5%포인트 정도 오를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위성호 신한은행장과 이대훈 농협은행장, 함영주 하나은행장은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폭 만큼 대출금리도 오를 것이라며 0.25%포인트 상승을 예상했다.
반면 손태승 우리은행장은 "미국 금리 인상과 해외 장기금리의 상승으로 시장금리도 오르겠지만 그 폭은 평균 0.1%포인트 내외일 것으로 보인다"라며 "대출금리도 시장금리에 연동해 오르겠지만, 시장금리 상승 폭보다는 제한적일 것 같다"고 말했다.하반기 은행권 최대이슈로는 미국 금리 인상을 꼽았다.
미국 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도 오르면서 상환 부담이 커져 취약가구나 한계기업의 대출이 부실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은행 건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다.
이 행장은 가계부채에 대해 "시장금리가 오르면 다중채무자, 과다채무자, 저신용자 등 취약차주의 상환 불능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선제적인 리스크관리가 필요하다"고 우려했다.손 행장도 "국내 시장금리가 점진적으로 오를 것으로 보여 취약차주와 부동산 갭 투자자의 이자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장들은 다만 지난해부터 정부가 각종 가계부채 대책을 내놓으며 대응하고 있어 가계부채 전반의 부실로 이어지지는 않으리라고 내다봤다.
오히려 가계보다는 기업 부실을 우려했다.
함 행장은 "미중 무역전쟁과 환율 상승,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 도입 등 기업을 둘러싼 대내외 환경이 어려운데 금리마저 오르면 취약한 영세 소상공인과 소규모 기업들 사이에서 연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로 인해 하반기 기업대출시장은 예년보다 위축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위 행장도 "금리 상승과 경기 부진이 동반되면 연체나 부도로 이어지는 기업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손 행장은 "옥석 가리기를 통해 우량 기업을 지원하고 부실 징후 기업은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에 나설 것"이라고 답했다.
한미 금리역전 현상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은 크지 않으리라고 봤다.
허 행장은 "채권시장은 금리역전에도 외국인 자금 유입이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며 "주식시장도 심리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겠지만 이보다는 경기 상황에 따른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위 행장도 "과거사례를 보면 미국이 금리 이상 시기가 미국 경제 호황기여서 그에 따른 낙수효과로 한미 금리역전의 부정적 효과는 상쇄되곤 했다"고 말했다.
손 행장은 "우리 경제는 경상수지와 재정수지가 흑자이고 외환보유액이 충분하며 신인도도 안정적이어서 자본유출의 위험은 거의 없다"고 평가했다.
은행장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구조 변화를 은행권 중대 이슈로 봤다.
허 행장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디지털 전환이 은행업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며 "모바일뱅킹뿐만 아니라 인력, 프로세스, 문화 등 조직 전체에서 디지털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큰 이슈"라고 말했다.
함 행장도 "핀테크 확산과 비(非)은행 산업의 금융서비스 진출 등으로 전통적 금융산업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며 "기존 은행권의 디지털 혁신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이 밖에도 은행장들은 주 52시간 도입과 최저임금 인상, 미중 무역전쟁, 은행의 사회적 책임 이행 등을 하반기 은행권 주요 이슈로 꼽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