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훈의 카톡까톡] SUV 열풍에…길 잃은 아반떼
입력
수정
年10만대 팔리던 아반떼 위상 추락
소형SUV 수요 잠식에 판매량 후진
아반떼 부분변경 '신차 효과'에 주목

그런데 시장에서 신차 반응은 예전 같지 않다. 최근 온라인에 유출된 디자인을 두고 국내외 네티즌들 반응은 다소 차갑다. "디자인이 역주행했다", "미안하지만 정말 못생겼다" 등 혹평 일색이다. 쏘나타 뉴라이즈와 닮은 꼴 스타일에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하고 있다. 아반떼는 쏘나타와 함께 '국민차' 타이틀을 거머쥔 스테디셀러 차량이다. 그동안 6세대 모델까지 진화하면서 연간 10만대 이상 판매 기록도 여러번 갖고 있어서 '10만대 클럽'을 대표하던 차다.

아반떼는 그동안 20~30대가 주로 찾았다. 가장 큰 위협 요인은 코나, 티볼리 등 경제성을 앞세운 SUV 인기가 꼽힌다. 아반떼와 비슷한 가격에 공간 활용도를 높여 젊은 층을 겨냥한 소형 SUV는 지난해 14만대 이상 팔렸고, 올 상반기에도 7만여 대가 팔렸다. 2013년 쉐보레 트랙스를 시작으로 QM3, 티볼리, 니로, 코나, 스토닉 등 다양한 모델이 쏟아져 소비자들 선택 권은 아반떼 급보다 훨씬 많아졌다.
그 사이 준중형차 수요가 감소한 것을 보면 아반떼 구매층이 티볼리나 코나 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업계는 파악하고 있다.
아반떼 부분변경 모델은 K3와 동일한 MPI 엔진에 무단변속기 등의 파워트레인을 채택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반떼 구매자들은 연료 효율에 민감하다. 아반떼가 다시 성장 그래프를 그리기 위해선 소형 SUV 대비 성능, 연비 등 상품성 측면에서 장점을 갖춰야 한다.
올해는 특히 '고효율차'로 새 단장한 기아자동차 K3도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했다. 신형 모델 출시를 앞둔 아반떼가 어느 때보다 꼼꼼히 제품력을 키워야 할 때다.
김정훈 한경닷컴 기자 lenn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