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매력' 커지는 화학·철강株, 바닥 쳤나
입력
수정
지면A20
美 금리 인상후 급락하던 소재株지난달 중순 이후 큰 폭의 조정을 받아온 화학, 철강, 광물 등 소재업종이 ‘바닥’을 다지고 있다. 포스코(철강) 롯데케미칼(화학) 등 업종 내 ‘간판’ 종목의 급락 추세가 멈춘 가운데 몇몇 종목엔 외국인투자자와 기관투자가 등 ‘큰손’들의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증시 조정에 휩쓸린 소재업종18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철강·금속업종지수는 26.10포인트(0.56%) 하락한 4661.97로 장을 마쳤다. 포스코, 동국제강, 고려아연 등의 종목으로 구성된 철강·금속업종지수는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기 직전인 지난달 11일 5570.60으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세로 돌아서 지난 9일엔 연중 최저치인 4528.72로 떨어졌다. 이후 완만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기관 매수로 반등 움직임
'업종 간판株' 포스코·롯데케미칼
2분기 영업익 대폭 증가 추정
LG화학·고려아연 등도 주목
LG화학 롯데케미칼 등으로 구성된 화학업종지수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화학업종지수는 지난달 12일 6094.85를 찍은 뒤 하락 반전해 지난 4일 연중 최저치(5511.98)로 추락했다가 반전에 성공했다. 이날 마감지수는 5587.02다.
소재업종이 지난달 중순 이후 급격한 조정을 받은 것은 미국 금리인상,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글로벌 증시 조정이 가장 큰 원인이다. 수출 비중이 높은 점이 부각돼 타격이 더 컸다. 지난달 11일 이후 코스피지수는 6.58% 하락했고, 철강업종지수와 화학업종지수는 각각 14.52%, 8.11% 떨어졌다.화학업종은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마진 축소 우려도 악재로 작용했다. 지난 1월2일 배럴당 60.37달러였던 서부텍사스원유(WTI)는 미국의 이란 제재 등의 요인으로 지난 3일 연중 최고치인 74.14달러까지 치솟았다.
◆실적개선 가능성 커
“경기둔화에 따른 수요 위축 가능성이 없지 않지만, 하반기 경영여건은 소재업종에 대체로 유리한 상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우선 원재료(원유, 철광석 등) 가격 하락으로 주요 제품 마진이 확대되는 추세다.화학업종 수익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국제 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증산 결정, 6월 생산량 확대 등으로 최근 하향 안정 추세를 보이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WTI는 배럴당 68.08달러로 마감해 3일 연중 최고치 대비 8.17% 내렸다.
핵심 화학제품인 에틸렌의 스프레드(제품 가격에서 생산 비용을 뺀 금액)는 1월 월평균 t당 770달러에서 5월 600달러로 감소했다가 지난달 714달러로 커졌다.
철강업종은 철광석 가격이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는 가운데 세계 최대 생산국인 중국의 구조조정과 환경규제 강화로 공급이 축소되면서 롤마진(철근 가격에서 철광석 등 생산 비용을 뺀 금액)이 확대되고 있다. 최문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철강업계 구조조정은 1단계인 설비폐쇄를 지나 2단계인 설비가동 규제 및 업계 재편이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저평가 매력 부각
이에 따라 소재업종 내 주요 종목은 2분기 이후 실적 개선 기대가 커지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각 업종 내 ‘간판’인 포스코와 롯데케미칼은 2분기에 전년 동기보다 각각 36.8%, 11.3% 증가한 1조3398억원과 7038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수준) 매력은 커졌다. 포스코와 롯데케미칼의 올해 실적 전망치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주가/주당순이익)은 각각 7.85배와 5.11배로, 동종 업종 내 글로벌 비교 대상인 일본 신닛테쓰스미킨(9.5배)과 독일 바스프(12.6배)에 비해 낮다.외국인은 이달 들어 소재업종에서 포스코(302억원 순매수) 코오롱인더스트리(142억원) 롯데정밀화학(131억원)의 투자 비중을 늘리고 있다. 기관은 LG화학(782억원) 고려아연(186억원)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