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44개월째 '수주 제로'… 현대重, 2000여명 무급휴직 추진
입력
수정
지면A13
사측, 창사이래 첫 도입 제안
전면파업 중인 노조 강력 반발
"인력 재조정하고 유급휴직 줘야"
현대중공업은 지난 19일 열린 제20차 교섭에서 해양플랜트 유휴 인력에 무급 휴직을 실시하는 방안을 담은 임금 및 단체협상 수정안을 노조 측에 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경영 정상화 때까지 해양플랜트 무급 휴직자를 제외한 다른 직원들은 기본급 20%를 반납하자는 안도 제시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무급 휴직 대상이나 기간 등 구체적인 사항은 확정하지 않았다”며 “무급 휴직은 대상자의 동의가 있어야 하는 만큼 일단 노조에 수정안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원유와 가스 생산·시추 설비를 제작하는 현대중공업 해양플랜트사업본부는 2014년 11월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따낸 나스르 플랜트(원유 시추 설비)를 끝으로 44개월째 수주 실적이 없다. 이달 말 나스르 플랜트마저 인도하고 나면 일감이 완전히 사라진다. 해양플랜트사업본부 정규직 근로자 2600여 명과 협력 업체 근로자 3000여 명 등 5600명가량이 일손을 놓아야 할 처지다.현대중공업은 해양플랜트뿐만 아니라 조선 부문에서도 일감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2016년(39억달러)과 지난해(47억달러) ‘수주절벽’이 극심했던 탓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4분기 1600억원의 적자를 낸 데 이어 올 1분기에도 123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실적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여파로 정규직 근로자 880여 명이 휴직 중이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최악의 경영 위기에도 불구하고 임금 인상을 주장하며 5년 연속 파업을 벌이고 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