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 최저, 악화, 반토막… 경제에 '희망'이 안보인다

0%대에 그친 2분기 성장률

모든 경기지표 내리막…"하반기가 더 걱정"

민간소비 0.3% ↑ 그쳐…1년半 만에 최저
설비투자 -6.6%…2년 3개월 만에 최악
건설투자도 마이너스로 돌아서 '본격 침체'
최후보루 수출까지 둔화…0.8% 찔끔 증가
< 내수 침체… 명동서 70% 세일 > 생산 투자 소비 등 경기지표가 일제히 둔화되면서 2분기 성장률이 0%대(전 분기 대비)로 주저앉았다. 대표적 상권인 서울 명동 거리가 26일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숫자만 놓고 보면 비관적인 수준은 아니다. 하지만 내용을 뜯어보면 심각하다.”

2분기 경제성장률이 0.7% 증가에 그친 것으로 나오자 민간 경제 전문가들은 “하반기가 더 걱정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대내외 변수들이 경제에 우호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자칫 정부 목표치인 2.9% 성장도 달성이 어려울지 모른다는 전망이 나온다.전문가들은 0%대의 성장률도 문제지만 ‘성장의 질(質)’이 안 좋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민간의 성장률 기여도는 낮아지고, 경제의 버팀목인 투자마저 급격히 얼어붙고 있어서다. 그나마 경기를 떠받쳐온 수출도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소비는 여전히 침체다. 사실상 모든 지표가 내리막인 셈이다.

◆내수 5년 만에 역성장

그동안 한국은 연 3% 안팎의 성장세를 보이며 내수가 2.5%포인트, 수출이 0.5%포인트 정도 기여해왔다. 하지만 2분기 국내 내수는 오히려 감소했다. 수출이 1.3%포인트를 기여하는 동안 내수 기여도가 -0.6%포인트를 나타내는 바람에 0.7% 성장하는 데 그쳤다. 수출 주도 성장을 지양하고 소득 증대와 재정 투입으로 내수를 부양하겠다는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무색해지는 대목이다.

내수 부진은 두 축인 소비와 투자가 모두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민간 소비는 지난해 분기별로 0.5~1.0% 안팎의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2분기엔 증가율이 0.3%로 뚝 떨어졌다. 지난해 4분기 2.2%에 달하던 정부 소비도 올 2분기엔 0.3%에 그쳤다. 민간 소비는 2016년 4분기 이후, 정부 소비는 2015년 1분기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더 심각한 것은 투자다. 3대 투자 항목인 건설투자와 설비투자, 지식재산생산물투자 모두 전 분기 대비 하락했다. 이들 투자가 모조리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12년 2분기 후 처음이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1분기 1.8%에서 2분기 -1.3%로 마이너스 전환했다. 작년 4분기(-2.3%) 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주거용 건물건설, 토목건설이 모두 줄었다. 설비투자는 더 얼어붙었다. 1분기 3.4%에서 2분기 -6.6%로 뒷걸음질쳤다. 2016년 1분기(-7.1%) 후 최악의 감소세다.◆하반기 성장엔진이 없다

수출도 녹록지 않다. 2분기 수출은 반도체, 석탄 및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0.8% 늘었다. 1분기 4.4%와 비교하면 큰 폭의 둔화세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수출 둔화가 예상보다 빨라지고 있다”며 “수입 감소폭이 커진 점도 우려 요인”이라고 말했다. 2분기 수입은 2.6% 감소했다. 수입이 줄어든다는 것은 그만큼 국내 생산, 투자 활동이 둔화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업종별로도 주력 업종의 둔화세가 두드러진다. 2분기 제조업 생산 증가율은 0.7%에 그쳤다. 전 분기 증가율 1.6%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건설업 생산은 2.3% 감소했다. 2012년 1분기(-4.7%) 후 최저치까지 밀렸다. 증가율이 전 분기 대비 높아진 업종은 대체로 공공 지출의 혜택을 받았거나 단기적인 요인에 따른 영향이 크다. 9.7% 증가한 전기가스수도사업이 대표적이다. 계절적 요인으로 전력, 가스 판매량이 늘어난 데다 보조금을 노리고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 사례가 급증한 데 따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정부 지출에 힘입은 보건 및 사회복지도 1% 이상 늘었다.전문가들은 이 추세가 하반기에도 이어진다면 성장률 0%대가 세 분기째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미·중 무역갈등 등의 여파로 대외교역 환경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어 국내외 경기 여건이 상반기보다 더 나빠질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1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0.8% 감소했다. 작년 4분기 -1.3%로 떨어졌다가 올해 1분기 1.8%로 확대됐으나 2분기에 다시 마이너스로 고꾸라졌다. 유가 상승 등으로 교역 조건이 악화된 데 따른 영향이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