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 진출한 한국 기업 잔혹사, 기록으로 공유하자

롯데백화점이 중국에서 사실상 철수한다는 소식이다. 2008년 베이징에 첫 매장을 냈던 롯데는 매출 부진에 사드 보복까지 겹치면서 올해 1분기에만 16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10년간 5개 매장 누적손실은 5000억원에 달한다. 롯데는 중국 롯데마트 매각과 폐점도 한 달 안에 마칠 계획이어서 중국 유통사업에서는 모두 손을 떼게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해외 유통업체들의 ‘무덤’으로 불린다. 외국 업체에 배타적인 문화인 데다 중국 정부는 자국 업체를 노골적으로 지원한다. ‘거상’으로 불리는 현지 도매상을 통하지 않으면 상품 공급이 어렵다는 한계도 있다. 여기에 소방점검 세무조사 등 온갖 명분을 앞세운 사드 보복까지 겹치면서 롯데는 결국 철수의 길을 걷게 됐다. 앞서 이마트 역시 중국 진출 20년 만인 지난해 완전히 철수한 바 있다.해외시장 개척은 위험이 큰 만큼 실패할 수도 있다. 문제는 중국의 경우, 사업전략 실패나 시장 변화 등의 요인 외에 ‘정부 리스크’가 너무 크다는 점이다. 중국 정부가 노골적으로 현지 업체와 차별을 하는 데다 사드 보복에서 보듯이 정치적 이유로도 기업활동을 옥죄는 경우가 허다하다. LG화학과 삼성SDI가 약 1년간 배터리 납품을 못 했던 게 대표적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메모리 반도체 업체를 가격 담합 혐의로 조사한 것도 비슷하다.

미국 일본 EU 등 많은 국가가 아직까지 중국에 시장경제국 지위를 부여하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지금부터라도 정부와 업계가 함께 중국 진출 기업의 애로 사항을 철저하게 분석, 세세한 기록으로 남겨 공유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중국에 부당함을 문제 제기하고 업계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아직도 완전히 해제되지 않은 사드 보복에 대처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