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10분 만에 단백질 제조' 기술 개발
입력
수정
지면A24
김일 교수 연구팀
단백질 대량생산 길 열어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7/01.17423926.1.jpg)
부산대는 BK21 플러스 동남권 화학신기술 창의인재 양성사업단의 김일 교수(사진)팀이 다양한 단백질을 10분 안에 제조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31일 발표했다. 이 같은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커뮤니케이션즈 케미스트리’ 20일자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7/AA.17420168.1.jpg)
김 교수팀은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성공했다. 천연 아미노산 20종류를 ‘펩타이드 결합’이라는 화학 결합을 통해 자유자재로 서로 연결하는 새로운 유기촉매를 개발했다. 이 촉매를 사용하면 다양한 단백질을 10분 안에 제조할 수 있고 단백질의 구조도 선형과 고리형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생명체를 구성하는 선형 및 고리형의 구조는 단백질 쓰임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고리형 단백질은 제조 자체가 불가능한 영역이었다. 연구팀은 개발한 단백질 제조 기술의 한국 및 국제 특허출원을 신청했다.김 교수팀은 단백질과 관련된 다른 연구들도 활발하게 하고 있다. 생명체에서 단백질이 보이는 구조적 기능에서 영감을 얻어 제조한 단백질을 다양한 기능의 3차원 수화젤 지지체, 에너지저장장치, 발광소자 등으로 활용하는 연구가 대표적이다.
김 교수는 “새로운 유기 촉매 개발로 단백질을 대량생산할 길이 열려 제약 및 의료회사들이 다양한 기능성을 지닌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