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1위' 중국, 한국이 세계 최초로 선보인 수소차까지 넘본다
입력
수정
지면A5
커지는 차이나 포비아지난해 친환경자동차 판매 1위 브랜드는 어딜까. 폭스바겐, 도요타, 제너럴모터스(GM), 테슬라 등 유명 브랜드를 모두 제친 회사가 있다. 중국 전기차 브랜드인 비야디(BYD)가 그 주인공이다. 1년간 10만9485대의 친환경차를 판매했다. 2위도 중국 회사다. 베이징자동차는 10만3199대(전기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카, 수소전기차)를 판매해 전년 대비 세 계단 뛰어올랐다. 한국의 현대자동차는 20위다. 상위 20위 안에 중국 기업이 10개에 달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초라한 성적표다.중국 자동차회사들이 세계 친환경차 시장에서 압도적 우위를 이어가고 있다. 2015년부터 중국은 세계 최대 친환경차 생산국 자리를 지키고 있다. 물론 생산량이나 판매량이 전부가 아니다. 중국 브랜드가 생산한 친환경차 대부분은 중국 시장에서 소비된다. 기술력 측면에서 글로벌 브랜드와 격차가 크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문제는 그 격차가 언제까지 유지될지 모른다는 사실이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2017년 산업기술수준 조사’를 보면 스마트카와 그린카 분야 한·중 기술격차는 1년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막대한 자국 판매량을 무기로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을 장악하는 건 시간문제라는 전망이 나온다.
가속페달 밟는 中 친환경차
세계 전기차 판매 압도적
상위 20위 중 10개社 달해
기술력 높여 글로벌 '진격'
수소차도 정부 지원 업고
2030년 100만대 보급 목표
중국 자동차 제조회사의 ‘친환경차 굴기’ 배경에는 중국 정부가 있다. 중국 정부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친환경차 구매보조금으로 지급한 돈만 1420억위안(약 23조원)에 달한다. 친환경차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도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현재 전기차 충전기는 차량 3대당 1기꼴로 있는데, 2020년까지 이 비율을 대당 1기 수준으로 맞추겠다는 계획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보조금 지원 규모를 줄이고 친환경차 의무생산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미 시장 규모를 키우겠다는 1단계 목표는 달성했으니 자동차 제조사의 기술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는 의미다. 중국 내 자동차 제조사는 올해 8%를 시작으로 2020년까지 매년 2%포인트씩 전기차 생산 비중을 높여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브랜드와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 브랜드 모두 이 규제를 지키려면 친환경차 생산 규모를 늘려야 하고, 가격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친환경차 연구개발을 강화할 수밖에 없다”며 “친환경차 기술력을 높여 글로벌 시장을 장악하겠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글로벌 자동차회사는 앞다퉈 중국 내 친환경차 공장을 짓겠다고 나서고 있다. 중국 회사와 합작법인을 세워야 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글로벌 회사 기술력이 중국 제조사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 정부는 ‘궁극의 친환경차’라 불리는 수소전기차(FCEV) 시장을 잡겠다는 계획도 이미 세웠다. 2030년까지 수소차와 수소충전소를 각각 100만 대, 1000기 이상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수소차 구매자에게는 20만위안(약 328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20억~30억원에 달하는 충전소 건설 비용 중 60%를 정부가 부담하는 방식이다.
수소차 충전소가 부족해 구매자가 어려움을 겪는 한국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한국 자동차업계에서는 각 회사가 친환경차를 간헐적으로 출시하고 있다는 소식 외에 정부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행한다는 얘기는 거의 없다.업계 관계자는 “전기차와 수소차가 중심이 되는 시대가 오면 중국이 최대 자동차 수출국이 될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