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 평양서도 '찰떡궁합' 재연하나
입력
수정
첫 회담서 文대통령 월경·도보다리 독대 등 명장면 남아
文대통령 첫 방북…양 정상 '통 큰 결단' 어떤 장면 만들지 주목평양 남북정상회담 9월 개최가 확정되자 지난 두 차례 정상회담 때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보여준 '찰떡궁합'이 관심사로 떠올랐다.두 정상은 1·2차 회담에서 남북관계 개선·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같은 역사적 합의 못지않게 긍정적 '케미스트리'로도 크게 이목을 끈 바 있다.
1차에 해당하는 4·27 회담 당시 양 정상은 판문점 군사분계선(MDL)에서 처음 만나 악수하던 순간부터 남북 최고지도자로서 즉흥적 결단을 내려 역사에 남을 장면을 연출했다.
남쪽으로 넘어온 김 위원장에게 문 대통령이 "나는 언제쯤 넘어갈 수 있겠느냐"고 하자 김 위원장이 "그럼 지금 넘어가 볼까요"라고 제안해 두 정상은 MDL 북측에서 다시 한 번 악수해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도보다리 위에서 이뤄진 독대 역시 두 정상의 '합'이 맞아 연출된 명장면 중 하나다.
다리 끝 탁자에서 이야기를 나눌지, 바로 되돌아올지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잠깐 앉았다가 가자는 문 대통령의 제안을 김 위원장이 받아들여 이뤄진 독대를 두고 새소리만을 배경으로 한 한 편의 '무성영화'라는 평가가 이어졌다.
문 대통령이 무언가를 설득하고 김 위원장이 이에 호응하는 듯한 '열린 태도'는 한반도 비핵화를 놓고 북한과의 담판을 앞둔 미국을 비롯해 국제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작지 않았다는 이야기도 나왔다.당시 두 정상이 나눈 대화 내용 역시 그보다 불과 몇 달 전 북한의 도발에 이은 '강력한 제재'의 필요성을 언급할 때의 분위기와 사뭇 달랐다.
김 위원장은 "대통령이 우리 때문에 NSC(국가안전보장회의)에 참석하느라 새벽잠을 많이 설쳤다는데 새벽에 일어나는 것이 습관이 되셨겠다"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 전 남측) 특사단이 갔을 때 선제적으로 (그렇게) 말씀해주셔서 앞으로는 발 뻗고 자겠다"고 대답했다.지난 5월 26일 북미정상회담 취소 우려가 고조됐을 때 열린 2차 회담도 두 정상의 통 큰 결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때 정상회담은 회담 전날 김 위원장이 일체의 형식 없이 만나고 싶다는 뜻을 전해 왔고 문 대통령이 이를 흔쾌히 수락하면서 열릴 수 있었다.
남북 정상은 이 회담에서 북미정상회담 성공의 필요성에 공감했고 헤어질 때는 포옹으로 밝은 미래를 기약했다.
이처럼 궁합이 잘 맞는 모습을 보였던 두 정상이 9월 평양에서 만나게 된다면 역사에 남을 또 다른 장면을 연출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어 보인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평양이 아닌 다른 지역에 방문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해석을 내놓는다.
4·27 정상회담 때 문 대통령은 "나는 백두산에 안 가봤는데 중국을 통해 가는 분들이 많더라"라며 "북측을 통해 백두산에 꼭 가보고 싶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당시 "문 대통령이 오시면 걱정스러운 것이 우리 교통이 불비해서 불편하게 할 것 같다는 점"이라며 "우리도 준비해서 편히 모실 수 있게 하겠다"고 화답한 바 있다.구체적 일정이 나오지 않았지만 두 사람이 다시 한 번 파격을 보인다면 백두산이 아니더라도 평양을 벗어난 다른 지역에서 만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연합뉴스
文대통령 첫 방북…양 정상 '통 큰 결단' 어떤 장면 만들지 주목평양 남북정상회담 9월 개최가 확정되자 지난 두 차례 정상회담 때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보여준 '찰떡궁합'이 관심사로 떠올랐다.두 정상은 1·2차 회담에서 남북관계 개선·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같은 역사적 합의 못지않게 긍정적 '케미스트리'로도 크게 이목을 끈 바 있다.
1차에 해당하는 4·27 회담 당시 양 정상은 판문점 군사분계선(MDL)에서 처음 만나 악수하던 순간부터 남북 최고지도자로서 즉흥적 결단을 내려 역사에 남을 장면을 연출했다.
남쪽으로 넘어온 김 위원장에게 문 대통령이 "나는 언제쯤 넘어갈 수 있겠느냐"고 하자 김 위원장이 "그럼 지금 넘어가 볼까요"라고 제안해 두 정상은 MDL 북측에서 다시 한 번 악수해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도보다리 위에서 이뤄진 독대 역시 두 정상의 '합'이 맞아 연출된 명장면 중 하나다.
다리 끝 탁자에서 이야기를 나눌지, 바로 되돌아올지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잠깐 앉았다가 가자는 문 대통령의 제안을 김 위원장이 받아들여 이뤄진 독대를 두고 새소리만을 배경으로 한 한 편의 '무성영화'라는 평가가 이어졌다.
문 대통령이 무언가를 설득하고 김 위원장이 이에 호응하는 듯한 '열린 태도'는 한반도 비핵화를 놓고 북한과의 담판을 앞둔 미국을 비롯해 국제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작지 않았다는 이야기도 나왔다.당시 두 정상이 나눈 대화 내용 역시 그보다 불과 몇 달 전 북한의 도발에 이은 '강력한 제재'의 필요성을 언급할 때의 분위기와 사뭇 달랐다.
김 위원장은 "대통령이 우리 때문에 NSC(국가안전보장회의)에 참석하느라 새벽잠을 많이 설쳤다는데 새벽에 일어나는 것이 습관이 되셨겠다"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 전 남측) 특사단이 갔을 때 선제적으로 (그렇게) 말씀해주셔서 앞으로는 발 뻗고 자겠다"고 대답했다.지난 5월 26일 북미정상회담 취소 우려가 고조됐을 때 열린 2차 회담도 두 정상의 통 큰 결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때 정상회담은 회담 전날 김 위원장이 일체의 형식 없이 만나고 싶다는 뜻을 전해 왔고 문 대통령이 이를 흔쾌히 수락하면서 열릴 수 있었다.
남북 정상은 이 회담에서 북미정상회담 성공의 필요성에 공감했고 헤어질 때는 포옹으로 밝은 미래를 기약했다.
이처럼 궁합이 잘 맞는 모습을 보였던 두 정상이 9월 평양에서 만나게 된다면 역사에 남을 또 다른 장면을 연출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어 보인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평양이 아닌 다른 지역에 방문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해석을 내놓는다.
4·27 정상회담 때 문 대통령은 "나는 백두산에 안 가봤는데 중국을 통해 가는 분들이 많더라"라며 "북측을 통해 백두산에 꼭 가보고 싶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당시 "문 대통령이 오시면 걱정스러운 것이 우리 교통이 불비해서 불편하게 할 것 같다는 점"이라며 "우리도 준비해서 편히 모실 수 있게 하겠다"고 화답한 바 있다.구체적 일정이 나오지 않았지만 두 사람이 다시 한 번 파격을 보인다면 백두산이 아니더라도 평양을 벗어난 다른 지역에서 만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