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미래기술 육성에 1조 지원…연구과제 선정부터 '파격'
입력
수정
지면A15
두 장짜리 제안서로만 1차 심사…노벨상 수상자가 면접“설마 연구과제로 선정되겠어?”
4차 산업혁명 기술 선점 위해
AI·IoT 등 혁신과제 팍팍 지원
5년간 창의적 연구 '마중물'
기초과학·ICT 428건 지원
백정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2014년 ‘번개의 원리를 이용한 마찰 발전기 개발’에 대한 연구과제를 삼성에 제안했다. 채택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생각했다. ‘상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정부에서조차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연구과제였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달랐다. 백 교수의 아이디어가 독창적이라고 판단하고 3년간 9억9000만원을 지원했다. 삼성전자는 백 교수의 연구과제가 웨어러블 기기를 구동시킬 때 필요한 마찰 전기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봤다. 백 교수가 가진 기본 특허도 매입했다.삼성전자가 미래 혁신 기술과 인재 양성을 위해 시작한 ‘삼성 미래기술육성사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3년 8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을 설립하고 삼성전자 산하에 미래기술육성센터를 신설하면서 이 사업을 시작했다. 지난 7월까지 약 5년간 △기초과학 149건 △소재기술 132건 △정보통신기술(ICT) 147건 등 총 428건의 연구과제에 5389억원을 지원했다. 삼성은 2022년까지 이 사업에 9600억원을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 5년간 성과물은 삼성의 기대치를 웃돌고 있다. 2014년 선정된 윤태영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의 연구개발 과제는 ‘개인별 항암 표적치료 연구’였다. 개인마다 치료 성과가 다른 암 환자에게 최적의 항암 치료제를 제공하는 혁신적인 연구다. 박문정 포스텍 화학과 교수는 ‘전기장으로 구동하는 분자 원동기’를 연구하고 있다. 장애인을 위한 인공 근육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권오경 공학한림원 회장(미래기술육성사업 심사위원장)은 “삼성의 파격적인 지원 방식으로 인해 논문 실적 중심의 학계 연구 풍토까지 서서히 바뀌고 있다”고 전했다.
삼성은 1차 서면심사를 할 때 연구자의 소속 기관은 물론 기존 연구 실적도 따지지 않는다. 아이디어 위주의 두 장짜리 연구 제안서로만 심사한다. 서면심사를 통과하면 국내외 최고 전문가들이 면접심사를 한다. 해외 심사단엔 노벨상 수상자도 포함돼 있다.
혜택도 파격적이다. 연구 결과물에 대한 소유권은 연구자와 소속 기관이 갖는다. 연구 목표엔 논문이나 특허 개수 등 정량적인 목표가 없다. 장재수 미래기술육성센터장(전무)은 “특허 취득이나 상업화를 위한 멘토링, 연구개발 과제를 활용한 창업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좌동욱/고재연 기자 leftk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