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탄 떨어진 케이뱅크, 사업자 전용 신용대출 판매도 '중단'
입력
수정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매달 대출상품의 판매 중단과 재개를 되풀이하고 있다. 자금난이 지속되면서 유상증자로 자본을 확충하기 전까지는 월별로 총한도를 두는 대출 쿼터제를 운영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오는 18일부터 이달 말까지 개인사업자 전용 신용대출 상품인 '일반가계신용대출'의 판매를 중단한다. 케이뱅크 측은 "이달 판매 한도를 소진해 상품 판매를 일시 중단한다"며 "대출상품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사전조치"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3일 '직장인K 신용대출', '직장인K 마이너스통장'도 같은 이유로 판매를 중단했다. 세 상품은 오는 9월1일 판매를 재개할 계획이다.
케이뱅크의 대출상품 판매 중단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밀려드는 대출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지난해 7월부터 10월까지 3개월 간 '직장인K 신용대출' 상품 판매를 중단한 바 있다. 이후 월 단위로 각 대출 상품에 쿼터제를 도입해 판매한도가 소진되면 상품 판매를 일시 중단하고 있다.지난달에는 '직장인K 마이너스통장'이 1일 판매 재개 후 6일 만에, '직장인K 신용대출'은 11일 만에 판매한도가 소진돼 대출을 중단했다.
케이뱅크가 찾아오는 고객을 뒤로하고 대출 문을 걸어 잠그는 것은 자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현재 케이뱅크의 자본금은 3800억원. 자본금이 정체돼 있는데 반해 대출이 늘어나면서 재무건전성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케이뱅크의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지난해 말 18.1%에서 올해 1분기 13.48%로 떨어졌다. 올 1분기 국내은행의 평균값(15.34%)보다 낮은 수치다. BIS 비율은 은행의 재무건전성, 안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다.
케이뱅크는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 확충을 추진하고 있으나 은산분리 규제가 이를 가로막고 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1000억원 규모의 1차 유상증자는 성공했지만, 올해 5월 추진했던 1500억원 규모의 2차 유상증자는 300억원 규모의 전환주를 발행하는 것에 그쳤다. 케이뱅크의 실질적 대주주인 KT(지분 10%)가 산업자본으로 분류돼 있어 추가 지분을 늘리는 데 한계가 따랐기 때문이다. 현행 은행법은 산업자본이 은행의 지분을 10% 이상 보유하지 못하도록 한다.
케이뱅크 측은 후속 증자를 완료하기 전까지는 대출 쿼터제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후속 증자에 규모와 일정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에 있으나 아직 공개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며 "증자를 완료하기 전까지는 대출 쿼터제를 지속할 것이다"고 말했다.현재 자본 여력에 대해 이 관계자는 "자본력이 없어서 대출 쿼터제를 하는 것만은 아니다"며 "역으로 자본이 있기 때문에 매달 일정 규모의 대출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오는 18일부터 이달 말까지 개인사업자 전용 신용대출 상품인 '일반가계신용대출'의 판매를 중단한다. 케이뱅크 측은 "이달 판매 한도를 소진해 상품 판매를 일시 중단한다"며 "대출상품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사전조치"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3일 '직장인K 신용대출', '직장인K 마이너스통장'도 같은 이유로 판매를 중단했다. 세 상품은 오는 9월1일 판매를 재개할 계획이다.
케이뱅크의 대출상품 판매 중단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밀려드는 대출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지난해 7월부터 10월까지 3개월 간 '직장인K 신용대출' 상품 판매를 중단한 바 있다. 이후 월 단위로 각 대출 상품에 쿼터제를 도입해 판매한도가 소진되면 상품 판매를 일시 중단하고 있다.지난달에는 '직장인K 마이너스통장'이 1일 판매 재개 후 6일 만에, '직장인K 신용대출'은 11일 만에 판매한도가 소진돼 대출을 중단했다.
케이뱅크가 찾아오는 고객을 뒤로하고 대출 문을 걸어 잠그는 것은 자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현재 케이뱅크의 자본금은 3800억원. 자본금이 정체돼 있는데 반해 대출이 늘어나면서 재무건전성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케이뱅크의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지난해 말 18.1%에서 올해 1분기 13.48%로 떨어졌다. 올 1분기 국내은행의 평균값(15.34%)보다 낮은 수치다. BIS 비율은 은행의 재무건전성, 안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다.
케이뱅크는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 확충을 추진하고 있으나 은산분리 규제가 이를 가로막고 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1000억원 규모의 1차 유상증자는 성공했지만, 올해 5월 추진했던 1500억원 규모의 2차 유상증자는 300억원 규모의 전환주를 발행하는 것에 그쳤다. 케이뱅크의 실질적 대주주인 KT(지분 10%)가 산업자본으로 분류돼 있어 추가 지분을 늘리는 데 한계가 따랐기 때문이다. 현행 은행법은 산업자본이 은행의 지분을 10% 이상 보유하지 못하도록 한다.
케이뱅크 측은 후속 증자를 완료하기 전까지는 대출 쿼터제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후속 증자에 규모와 일정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에 있으나 아직 공개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며 "증자를 완료하기 전까지는 대출 쿼터제를 지속할 것이다"고 말했다.현재 자본 여력에 대해 이 관계자는 "자본력이 없어서 대출 쿼터제를 하는 것만은 아니다"며 "역으로 자본이 있기 때문에 매달 일정 규모의 대출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