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시진핑 담판 짓나… "미중, 무역전쟁 협상 로드맵 짜는중"

美언론 보도…11월 다자 정상회의서 '트럼프-시진핑' 회담도 포함
"시진핑, 참모들에 가능한 한 빨리 '미중관계 안정화' 시도 지시"
미국과 중국이 오는 11월까지 무역전쟁 종식을 시도하기 위한 로드맵을 짜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현지시간) 양국 관리들을 인용해 보도했다.WSJ은 "미중 협상가들이 오는 11월 예정된 다자 정상회의 무대에서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무역 파행'을 끝내기 위한 대화(협상) 로드맵을 짜고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이는 미중이 일련의 로드맵을 마련해 무역 협상을 벌인 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11월 정상회담에서 최종 타결을 보겠다는 구상인 것으로 풀이된다.

미중 양국의 관리들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11월 중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고 WSJ은 전했다.APEC 정상회의에 이어 11월 말에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도 예정돼 있다.

이에 따라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던 미중 무역전쟁이 타협점을 모색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미 CNBC도 이날 다우존스를 인용해 미중이 무역분쟁을 종식하기 위한 회담 개최 계획에 착수했다면서, 이는 11월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정상회담으로 귀결될 수 있다고 전했다.미중간 '협상 로드맵' 소식은 양국이 다음 주 워싱턴DC에서 협상을 재개하기로 한 가운데 나온 것이다.

중국 왕셔우원(王受文) 상무무 부부장(차관) 겸 국제무역협상 부대표는 오는 22~23일 워싱턴DC를 방문, 데이비드 말파스 미국 재무부 차관과 협상을 벌일 예정이다.

WSJ은 왕셔우원 부부장이 이끄는 중국 협상 대표단은 총 9명 규모라고 전했다.WSJ은 "다음 주 미중 협상은 11월로 가기 위한 길을 닦을 것"이라면서 "미중간 추가 회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리들의 언급을 소개했다.

WSJ은 미중의 이 같은 계획은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는 무역분쟁이 양국관계를 파괴하고 글로벌 시장을 뒤흔드는 것을 막기 위한 양측의 노력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WSJ은 미중간 대화 모색에 대해 양국 관계를 궤도에 올려놓기 위한 중국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전했다.

시 주석이 참모들에게 가능한 한 빨리 미중관계의 안정화 시도를 할 것을 지시했다는 것이다.

중국 관리들과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하고 전선이 더 확대되면 경제를 재건하고 글로벌 수퍼파워로 탈바꿈하려는 시 주석의 계획이 위협을 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면서 이미 위안화 가치가 떨어지고 중국 주식시장은 흔들리고 있다.

그러나 양측의 입장차가 워낙 커 본격적인 협상에 나서더라도 적지 않은 험로가 예상된다.

미 측은 지난 5월 협상에서 중국에 대미 무역흑자를 2천억 달러 축소하는 것을 포함해 8개 항의 요구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 재무부는 중국과의 협상 재개를 앞두고 더욱 정제된 요구 리스트를 준비 중에 있다고 WSJ은 전했다.

이 요구안에는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 축소를 비롯해 자국내 기업에 대한 보조금 축소, 철강·알루미늄을 포함한 산업재에 대한 과잉생산 해소, 미국 기업에 대한 기술이전 강요 중단, 지난 4월 이후 10% 가까이 하락한 중국 위안화의 절상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WSJ은 중국과의 협상을 둘러싼 트럼프 행정부내 강온파의 이견을 거론하면서 특히 강경파인 미무역대표부(USTR)는 10월까지 중국에 대해 더 많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협상력을 높일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USTR는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부과 여부와 관련한 공청회를 다음 주에 열 예정이다.

미 관리들은 "트럼프 대통령은 테이블에 '딜'(협상안)이 올라오면 (어디로 갈지) 저울질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중은 이미 각각 340억 달러 규모의 상대방 제품에 대해 관세폭탄을 주고받았으며, 160억 달러 규모의 2차 관세폭탄에 대한 선전포고를 한 상황이다.미국은 또 이와 별도로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폭탄을 예고해 놓은 상태이며, 특히 미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이들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당초 10%에서 25%로 올리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