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자동차업계… 부품社들, 줄도산 위기

자동차 산업 리포트

상반기 국내 車 생산량
200만4744대 7.3% 줄어
현대차 생산량 4.5% 감소
쌍용차 6분기 연속 적자

현대차 1차 협력사 리한
워크아웃 신청 '충격'
주요 부품사 절반 적자전환

"산업 생태계 근간 흔들리나"
현대차 투싼
국내 자동차 업체들이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다. 올 상반기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200만4744대로 작년 상반기보다 7.3% 줄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 이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쌍용자동차는 올 2분기(3~6월)까지 6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국내 완성차 업체의 판매 감소는 부품사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6월 현대차 1차 협력회사인 리한이 워크아웃을 신청한 게 대표적 사례다. 한국 자동차산업 생태계의 근간이 흔들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中·美 등 주요 시장서 부진

올 상반기 현대차가 국내에서 생산한 차량은 84만3849대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5% 줄었다. 중국과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판매량이 줄어든 데다 각국의 보호무역 기조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생산 비중을 늘린 여파다. 제 몫을 하는 차종은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싼타페 등 몇몇에 불과하다. 기아차 사정도 비슷하다. 상반기 국내 공장 생산량은 72만9793대로 작년 상반기보다 5.8% 줄었다.
쌍용차 티볼리 아머
쌍용차는 6분기 연속 적자의 늪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653억원 규모의 적자를 낸 쌍용차는 올 2분기에도 7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수출 부진이 발목을 잡았다.한국GM과 르노삼성자동차도 뒷걸음질 치고 있다. 전북 군산공장을 폐쇄하면서 철수설에 시달렸던 한국GM의 상반기 판매량은 24만6386대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7% 줄었다. 르노삼성은 올 상반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3% 줄어든 12만6018대를 판매했다.

한국 자동차산업이 위기에 빠진 원인은 복합적이다. SUV에 쏠리는 글로벌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한 데다 가격경쟁력도 확보하지 못한 게 주요 이유로 꼽힌다. 여기에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으로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치명타를 맞았다.

환율 하락(원화 가치 상승)도 한국 차의 발목을 잡았다. 고질적인 고비용·저효율 구조 역시 해결되지 않았다.
기아차 스포티지
◆완성차 위기 부품업계로 옮아가

현대차 1차 협력사인 리한은 지난 6월 말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현대·기아차 판매량이 줄어들면서 납품업체 실적이 동반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리한은 지난해 매출 1800억여원에 81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자동차 부품업계는 충격에 빠졌다. 약 300곳인 현대차 1차 협력사 가운데 그동안 워크아웃을 신청한 사례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지난해 중국의 사드 보복에 이어 올 들어 한국GM의 군산공장 폐쇄까지 맞물리며 1년 넘게 고전해온 후유증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공장 가동률 하락과 자금난 등으로 주요 자동차 부품회사의 절반가량이 올 들어 적자로 돌아섰다.

은행권은 어음 할인이나 신규 대출을 거부하는 등 자동차 협력사 ‘돈줄’을 죄기 시작했다. 일부 은행은 몇몇 부품사에 비상경영계획(컨틴전시 플랜) 제출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선 이 상태가 지속되면 국내 자동차 및 부품산업 생태계가 흔들릴지 모른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자동차산업이 무너지면 대규모 실업 대란으로 이어진다.

현대차와 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 쌍용차 등 국내 완성차 5개사에 납품하는 1차 협력사는 851곳이다. 2·3차 협력사까지 합치면 8800여 곳에 이른다. 국내 완성차 업체와 협력사가 직접 고용한 인력만 35만5000명에 달한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