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다 갔는데" 뒤늦은 손선풍기 전자파 주의보
입력
수정
“손 선풍기 얼굴과 거리 유지한 채 사용하세요”
날개 있는 ‘손풍기’, 고압선보다 높은 전자파 발생
과기부 "손선풍기 전자파 실태조사…전기제품 기준적용 곤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개 휴대용 선풍기에서 전자파가 높게 발생했다는 논란과 관련해 실태조사를 벌이겠다고 21일 밝혔다.과기정통부는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휴대용 선풍기의 전자파에 대한 실태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과기정통부는 "휴대용 선풍기가 배터리를 사용하는 직류 전원 제품"이라며 "교류 전원 주파수가 발생하는 전기제품에 적용하는 전자파 인체보호기준(833mG)을 적용해 비교하기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한 환경단체가 시판 중인 손 선풍기 13개 제품의 전자파를 측정해 본 결과 13개 제품 중 12개 제품에서 전자파 수치가 높게 나왔다. 거의 전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일상적으로 노출될 경우 소아 백혈병 발병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 전자파 수치인 0.4μT를 훌쩍 뛰어 넘었고, 정부의 전자파 인체 보호 기준인 83.3μT도 초과했다.
12개 제품 평균치를 살펴보니 측정기를 바람이 나오는 표면에 댄 경우 64.8μT, 5cm 정도 거리를 둔 경우 3.8μT로 15cm 이상 떨어뜨려야 0.4μT 아래로 내려갔다.시민 단체 실험 결과, 손잡이에서도 전자파가 나오는 만큼 손잡이를 이용하지 않고 25cm 정도 거리를 두고 세워서 바람을 쐬는 것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워둘 수 없는 야외활동의 경우 팔꿈치가 살짝 펴질 정도 각도로 멀리 떨어뜨려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시민 단체는 예방 차원에서 전자파에 취약한 어린이나 임신부는 손 선풍기를 되도록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네티즌들은 "시중에 판매 되기 전에 모든 검사를 하고 판매를 해야지. 다 팔고 나서 뭐하는 짓인가 (dame****)", "전자파 걱정되는 사람은 지금 컴퓨터랑 핸드폰도 하지 마라 (suhy****)", "여름 다 다 지났는데 웬 뒷북 (jees****)"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