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복혈당 변화 심하면 심근경색·뇌졸중 사망위험 1.6배↑"
입력
수정
중앙대·서울대병원, 성인 26만487명 10년 추적결과
공복혈당 변화가 크면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계질환 발생률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사망위험도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중앙대병원 건강증진센터 이경실 교수,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가건강검진 빅데이터에 등록된 성인 26만487명을 대상으로 2년간의 공복혈당 변화가 8년 후 심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공복혈당은 100㎎/㎗ 미만이 정상이다.
하지만 100∼126㎎/㎗이면 공복혈당장애(당뇨전단계), 126㎎/㎗ 이상이면 당뇨병 의심으로 각각 분류된다.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2년간의 공복혈당 변화가 8년 후 심혈관질환 발생과 총 사망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 결과, 처음에는 공복혈당이 정상이었다가 2년 후 당뇨병 의심 진단을 받은 사람들은 두차례 모두 정상으로 나온 사람들보다 8년 뒤 뇌졸중 위험이 20% 높았다.
총 사망위험도 56%나 치솟은 것으로 평가됐다.또 처음에 공복혈당장애 진단을 받았다가 2년 후 당뇨병 의심으로 악화한 사람들도 심근경색 위험이 65%, 총 사망위험이 16% 상승했다.
이경실 교수는 "지금까지 당뇨병이 없는 사람의 혈당치 변화가 심뇌혈관계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하지 않았다"면서 "당뇨병이 없는 사람도 혈당이 높아지면 추후 심근경색 및 뇌졸중 위험이 커진다는 사실이 이번 연구로 확인된 만큼 평소 혈당 조절을 통해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이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심혈관 당뇨학회지'(Cardiovascular Diabet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합뉴스
공복혈당 변화가 크면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계질환 발생률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사망위험도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중앙대병원 건강증진센터 이경실 교수,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가건강검진 빅데이터에 등록된 성인 26만487명을 대상으로 2년간의 공복혈당 변화가 8년 후 심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공복혈당은 100㎎/㎗ 미만이 정상이다.
하지만 100∼126㎎/㎗이면 공복혈당장애(당뇨전단계), 126㎎/㎗ 이상이면 당뇨병 의심으로 각각 분류된다.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2년간의 공복혈당 변화가 8년 후 심혈관질환 발생과 총 사망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 결과, 처음에는 공복혈당이 정상이었다가 2년 후 당뇨병 의심 진단을 받은 사람들은 두차례 모두 정상으로 나온 사람들보다 8년 뒤 뇌졸중 위험이 20% 높았다.
총 사망위험도 56%나 치솟은 것으로 평가됐다.또 처음에 공복혈당장애 진단을 받았다가 2년 후 당뇨병 의심으로 악화한 사람들도 심근경색 위험이 65%, 총 사망위험이 16% 상승했다.
이경실 교수는 "지금까지 당뇨병이 없는 사람의 혈당치 변화가 심뇌혈관계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하지 않았다"면서 "당뇨병이 없는 사람도 혈당이 높아지면 추후 심근경색 및 뇌졸중 위험이 커진다는 사실이 이번 연구로 확인된 만큼 평소 혈당 조절을 통해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이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심혈관 당뇨학회지'(Cardiovascular Diabet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