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7 부동산 정책, 건설업 주가에 영향 제한적"-한화
입력
수정
한화투자증권은 28일 8.27 부동산 정책이 건설업 주가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했다.
송유림 연구원은 "정부는 수도권 공급부족에 대한 우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의 해당 지역 유입, 개발계획 발표 등을 주택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며 "박원순 서울시장은 여의도 및 용산 개발을 주택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보류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이번 추가 대책에선 수도권 내 공공택지 추가 개발을 통한 공급확대와 서울 및 수도권 9곳에 대한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국지적 불안이 발생하고 있는 서울 종로구 중구 동대문구 동작구가 투기지역으로 지정됐으며 기존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광명시 하남시는 투기과열지구로 설정됐다.
그는 "정부는 수도권 내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30만호 이상 주택공급을 위한 공공택지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이라며 "지난해 말 기준 수도권 내 미매각·미착공으로 주택공급이 가능한 48만호 공공택지를 보유 중이고, 기확정 발표한 14개 신규 공공주택지구를 포함하면 총 가용 공공택지는 54만2000호 수준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부동산 대책에서 주목할 점은 주택 공급에 대한 정부의 입장 변화라고 지적했다. 송 연구원은 "정부는 그간 주택 공급부족에 대한 논란을 주택 공급 확대보단 수요 측면에서 규제 강화에 집중해왔는데 수요 억제가 주택 가격을 불안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했다"며 "이번에 공급확대 필요성을 언급했다는 것은 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건설업 입장에서 부동산 규제 강화는 주택 사업을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부정적 요인이지만, 건설업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6월 이후 부동산 규제가 강화 기조로 돌아선 후 이에 대한 실망감을 이미 반영한 바 있고, 아파트 분양 공급은 과거 평균 대비 높은 수준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주택 공급에 대한 정부 입장 선회는 주택 공급 급감에 대한 우려를 낮추는 요인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부 지방 지역의 경우 미분양 세대수가 급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위험 요인은 고려할 필요가 있겠지만, 수도권 사업 비중이 큰 대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긍정적 투자의견을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송유림 연구원은 "정부는 수도권 공급부족에 대한 우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의 해당 지역 유입, 개발계획 발표 등을 주택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며 "박원순 서울시장은 여의도 및 용산 개발을 주택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보류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이번 추가 대책에선 수도권 내 공공택지 추가 개발을 통한 공급확대와 서울 및 수도권 9곳에 대한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국지적 불안이 발생하고 있는 서울 종로구 중구 동대문구 동작구가 투기지역으로 지정됐으며 기존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광명시 하남시는 투기과열지구로 설정됐다.
그는 "정부는 수도권 내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30만호 이상 주택공급을 위한 공공택지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이라며 "지난해 말 기준 수도권 내 미매각·미착공으로 주택공급이 가능한 48만호 공공택지를 보유 중이고, 기확정 발표한 14개 신규 공공주택지구를 포함하면 총 가용 공공택지는 54만2000호 수준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부동산 대책에서 주목할 점은 주택 공급에 대한 정부의 입장 변화라고 지적했다. 송 연구원은 "정부는 그간 주택 공급부족에 대한 논란을 주택 공급 확대보단 수요 측면에서 규제 강화에 집중해왔는데 수요 억제가 주택 가격을 불안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했다"며 "이번에 공급확대 필요성을 언급했다는 것은 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건설업 입장에서 부동산 규제 강화는 주택 사업을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부정적 요인이지만, 건설업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6월 이후 부동산 규제가 강화 기조로 돌아선 후 이에 대한 실망감을 이미 반영한 바 있고, 아파트 분양 공급은 과거 평균 대비 높은 수준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주택 공급에 대한 정부 입장 선회는 주택 공급 급감에 대한 우려를 낮추는 요인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부 지방 지역의 경우 미분양 세대수가 급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위험 요인은 고려할 필요가 있겠지만, 수도권 사업 비중이 큰 대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긍정적 투자의견을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