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철강산업,하반기에도 실적 부진 지속 전망
입력
수정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 ‘동남권 철강산업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 발표
신남방정책 추진에 주목해 새로운 성장 활로를 모색할 필요부산과 울산,경남 등 동남권의 철강산업의 실적이 하반기에도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BNK금융그룹(회장 김지완) 소속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동남권 철강산업 현황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를 31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상반기 동남권의 철강산업 생산은 전년동기대비 5.4% 감소했다.지역별로도 부산(-9.3%), 경남(-5.3%), 울산(-2.6%) 등 전 지역이 마이너스 성장하여 부진한 모습이 지속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도 전년동기대비 11.7% 감소하여 전국(-3.0%)보다 크게 위축됐다. 국가별로는 동남권 최대 철강수요국인 미국 및 중국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했다. 이들 G2 국가는 최근 5년간(2013~17년) 수출중량 합계 기준으로 동남권의 철강 수출 중 27.7%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은 지역이다. 올 상반기 중 미국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22.8%, 중국 수출은 –44.1%를 기록해 수출 감소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철강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의 업황도 악화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동남권에 본사 또는 주사업장이 있는 주요 철강 제조업체의 평균 매출액영업이익률 분석 결과, 2016년은 5.2%였으나 2017년에는 3.8%로 하락했다.
철강 제조 상장회사의 2018년 상반기 경영실적도 부진했다.철강 유통업체는 수익성 하락 뿐만 아니라 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어 건전성 측면도 우려된다. 올 하반기에도 철강산업의 경기전망은 밝지 않은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가 둔화되는 가운데 자동차, 조선 등 주력 수요산업도 단기에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돼 내수 확대를 기대하기 어렵다.수출 역시 글로벌 철강수요의 둔화와 함께 미국, EU 등 선진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해 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따라서 동남권 철강산업이 새로운 성장활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이를 위해 무엇보다 아세안에 주목해야 하다고 언급했다.아세안 시장은 대규모 인프라 개발로 인해 철강수요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며 동남권 철강수출도 미국 및 중국으로의 비중이 낮아진 반면 아세안은 금년 상반기 18.1%를 기록하며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성국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 연구위원은 “최근 정부가 발표한 신남방정책이 가시화되면 아세안은 상당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되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며 “지역의 철강업체들이 아세안 시장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신남방정책 추진에 주목해 새로운 성장 활로를 모색할 필요부산과 울산,경남 등 동남권의 철강산업의 실적이 하반기에도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BNK금융그룹(회장 김지완) 소속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동남권 철강산업 현황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를 31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상반기 동남권의 철강산업 생산은 전년동기대비 5.4% 감소했다.지역별로도 부산(-9.3%), 경남(-5.3%), 울산(-2.6%) 등 전 지역이 마이너스 성장하여 부진한 모습이 지속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도 전년동기대비 11.7% 감소하여 전국(-3.0%)보다 크게 위축됐다. 국가별로는 동남권 최대 철강수요국인 미국 및 중국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했다. 이들 G2 국가는 최근 5년간(2013~17년) 수출중량 합계 기준으로 동남권의 철강 수출 중 27.7%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은 지역이다. 올 상반기 중 미국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22.8%, 중국 수출은 –44.1%를 기록해 수출 감소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철강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의 업황도 악화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동남권에 본사 또는 주사업장이 있는 주요 철강 제조업체의 평균 매출액영업이익률 분석 결과, 2016년은 5.2%였으나 2017년에는 3.8%로 하락했다.
철강 제조 상장회사의 2018년 상반기 경영실적도 부진했다.철강 유통업체는 수익성 하락 뿐만 아니라 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어 건전성 측면도 우려된다. 올 하반기에도 철강산업의 경기전망은 밝지 않은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가 둔화되는 가운데 자동차, 조선 등 주력 수요산업도 단기에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돼 내수 확대를 기대하기 어렵다.수출 역시 글로벌 철강수요의 둔화와 함께 미국, EU 등 선진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해 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따라서 동남권 철강산업이 새로운 성장활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이를 위해 무엇보다 아세안에 주목해야 하다고 언급했다.아세안 시장은 대규모 인프라 개발로 인해 철강수요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며 동남권 철강수출도 미국 및 중국으로의 비중이 낮아진 반면 아세안은 금년 상반기 18.1%를 기록하며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성국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 연구위원은 “최근 정부가 발표한 신남방정책이 가시화되면 아세안은 상당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되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며 “지역의 철강업체들이 아세안 시장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