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개발계획 파장 '예상 못했다'는 박원순 시장
입력
수정
지면A28
"시장 반응 충분히 알지 못해
강남·북 격차 해소 경전철 필요"
박 시장은 지난 30일 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생각보다 서울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면서 재개발계획 전면 보류를 선언했다”며 “시장 반응을 몰랐다는 점은 ‘쿨하게’ 인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26일 ‘여의도·용산 마스터플랜’ 발표를 보류했다.그러나 박 시장은 “여의도는 오래된 지역이라 재개발을 해야 하는데 가만히 있으면 난개발이 될까봐 ‘마스터플랜을 만들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한 것”이라며 “이 얘기가 여의도를 통째로 재개발하는 것처럼 받아들여졌다”고 해명했다.
이날 방송에 함께 출연한 박형준 동아대 교수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먹히지 않는 상황에서 박 시장이 빌미를 줄 수 있는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책임이 전가됐다”며 “부동산 가격 상승의 본질을 보면 박 시장 책임이 아니다”고 분석했다. 반면 이철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장관이 시그널을 줬을 때 멈췄어야 했는데 더 나간 측면이 있다”는 논평을 내놨다.
박 시장은 이날 비강남권 경전철 노선에 대한 필요성도 역설했다. 김 장관은 지난 27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경전철은 서울시가 아니라 국토부가 승인해야 하는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박 시장이 지난 19일 삼양동 옥탑방 한 달 살이를 마친 뒤 “시 재정을 투입해 비강남권 경전철 4개 노선 사업을 2022년 조기 착공하겠다”고 밝히자 속도 조절을 요구한 것이다.이에 대해 박 시장은 “강남·북 격차를 해소하는 데 교통복지가 굉장히 중요하다”며 뜻을 굽히지 않았다. 그는 “민자로 경전철을 짓는다 해도 재정이 50%는 들어가야 한다”며 “재정 투입으로 시민들이 받게 되는 복지가 워낙 크기 때문에 (100%) 재정으로 해도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의정부·용인 경전철은 어려웠으나 인구가 1000만 명인 서울은 다르다”며 “서울시 경전철은 중간중간 교통 취약지역을 연결하는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