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정상 "비핵화 공조 지속"… 유엔총회 만남 추진

특사 파견 전날 50분간 통화

문재인 대통령, 대북 특사단 파견 계획 상세히 설명
트럼프 "남북 정상회담 좋은 성과 거두길 바란다"
정의용, 친서 들고 5일 訪北…추석前 정상회담 유력
문재인 대통령은 특별사절단 방북을 하루 앞둔 4일 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하고 이달 말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 기간 중 한·미 정상회담을 추진하기로 했다.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 기념일(9·9절) 이후 평양에서 열릴 예정인 남북한 정상회담 결과를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직접 설명할 계획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한·미 두 정상은 전화통화에서 6·12 북·미 정상회담 이후 진행 중인 비핵화 협상 및 다가오는 제3차 남북 정상회담을 포함한 남북관계 진전 등 한반도 정세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통화한 것은 취임 후 18번째로, 6·12 미·북 정상회담 이후 84일 만이다.문 대통령은 이날 50분간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며 긴밀한 협의와 공조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특사단 파견 계획을 상세히 설명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특사단이 좋은 성과를 거두기를 진심으로 바라며 결과를 자신에게 알려달라”고 했다고 김 대변인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9월 남북 정상회담이 6·12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의 합의사항 이행과 향후 대화를 위해서도 좋은 성과를 거두길 바란다”고 지지 의사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해 “지금이 한반도 평화 정착에 있어 중대한 시점이며, 이는 완전한 비핵화와 함께 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 정상은 이달 26일부터 시작되는 유엔 총회에서 만나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외교·안보 관계장관 회의를 긴급 소집해 특사단 방북 계획을 점검했다. 청와대에서 열린 회의에는 특사단에 포함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 등 5명을 비롯해 강경화 외교·조명균 통일·송영무 국방부 장관,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참석했다.정 실장을 수석대표로 한 특사단은 5일 오전 7시40분 공군 2호기를 타고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을 출발, 서해 직항로로 방북한 뒤 당일 저녁 돌아올 예정이다. 정 실장은 이날 사전 브리핑에서 “오후 늦은 시간까지 평양에 체류하면서 북한 지도자들과 대화할 것”이라며 “남북관계 발전 및 한반도 비핵화, 평화 구상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사단은 문 대통령의 친서도 북측에 전달할 예정이다. 특사단은 방북에 앞서 미국 측과의 사전 협의를 통해 북에 전달할 제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이 당초 요구한 수준은 아니더라도 북한의 핵시설 리스트 제출을 유도할 수 있는 수준의 제안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미국과 북한이 각각 ‘선(先) 비핵화’와 ‘선 종전선언’ 노선을 굽히지 않는 가운데 이번 특사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고 분석했다. 북한을 설득해 미국 등 국제사회가 납득할 만한 비핵화 성과를 이끌어내야 하고 북한이 미국에 원하는 조건이 뭔지 파악해 이를 전달하는 중재자 역할을 차질없이 소화해야 한다는 의미다.특사단은 이달 평양에서 열릴 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정상회담 날짜도 확정할 계획이다. 남북은 지난달 열린 고위급회담에서 3차 남북 정상회담을 9월 평양에서 열기로 합의했지만 후속 실무회담이 열리지 않아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특사단은 문 대통령의 친서를 들고 방북해 김정은과의 면담은 거의 확실하다는 게 청와대 안팎의 분위기다. 3월 방북 때처럼 김정은과 만난 뒤 회담 일정을 비롯한 구체적 내용이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상회담 시기는 17~21일 사이 2박3일 일정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측이다. 정상회담 일정이 나온 다음 적어도 열흘에서 보름 정도 준비 기간이 필요해 문 대통령의 평양 방문도 이 시기에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강인덕 전 통일부 장관은 “북한이 진정 원하는 건 종전선언”이라며 “이를 통해 정상국가로 인정받고, 대내 결속력을 강화하고자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재원/이미아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