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광종의 시사한자] 秋(가을 추)
입력
수정
지면A33
가을 무렵이면 바람도 메마르다. 물기가 크게 줄어든 대기의 흐름이 나뭇가지를 흔들 때 서걱거리는 소리가 나 지난주 소개한 대로 ‘슬슬(瑟瑟)’한 분위기가 번지다가 끝내 ‘쓸쓸’해지고 만다.
땅에 내린 식생의 씨앗이 움을 틔워 무더운 여름에 자랐다가 수확의 낫질을 거쳐 창고로 옮겨지는 계절이 가을이다. 그 한자는 秋(추)다.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가름에 따라 네 계절에 색깔과 방위(方位)의 관념을 덧댔다.만물이 기지개를 켜는 봄은 청춘(靑春), 여름은 더워 주하(朱夏), 가을은 서늘하다고 해서 소추(素秋), 겨울은 어둡고 춥다는 점에서 현동(玄冬)이다. 방위로는 동서남북(東西南北)의 순서다. 푸르고(靑) 붉고(朱) 희고(素) 검은(玄) 색이 각각 네 계절의 특징을 드러낸다.
가을을 가리키거나 상징하는 한자는 우선 金(금)과 商(상), 素(소) 등이다. 기운이라는 요소로 볼 때 서쪽은 서늘하다고 해서 쇠(金)를 붙였다.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의 동양 고대 다섯 가지 음(音) 중에서는 상(商)이 가을을 대표한다고 여겼다. 쓸쓸해서 처량함을 느끼게 해주는 음조(音調)다.
그래서 가을을 일컫는 단어들은 이 글자들을 엮어 금추(金秋)·금상(金商)·금소(金素)·상추(商秋)·상소(商素)·백상(白商)·소상(素商) 등으로 적었다. 각 계절은 세 단계로 나누는데, 보통 맹(孟)·중(仲)·계(季)다. 초가을 맹추(孟秋)의 별칭은 수추(首秋)와 상추(上秋)다. 중추(仲秋)는 중상(仲商), 늦가을 계추(季秋)는 모추(暮秋)나 말추(末秋)라고도 한다.시간이 속절없이 흐른다는 점을 새삼 일깨우는 계절이 가을이다. 가고 오는 더위와 추위, 즉 한래서왕(寒來暑往)의 기후적인 변화에서 한 해의 끝을 절감토록 해서다. 그 가을에는 이미 익은 곡식들을 거둬들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래서 가을을 수성(收成)의 계절이라고도 적는다. 아울러 안으로 거둬 쟁이는 수렴(收斂)의 의미도 있다. 그에 덧붙여 성찰(省察)과 회고(回顧)를 재촉하는 때이기도 하다. 분주하고 번잡했던 우리사회가 되새겨야 할 가을의 의미다.
유광종 < 중국인문경영연구소장 >
땅에 내린 식생의 씨앗이 움을 틔워 무더운 여름에 자랐다가 수확의 낫질을 거쳐 창고로 옮겨지는 계절이 가을이다. 그 한자는 秋(추)다.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가름에 따라 네 계절에 색깔과 방위(方位)의 관념을 덧댔다.만물이 기지개를 켜는 봄은 청춘(靑春), 여름은 더워 주하(朱夏), 가을은 서늘하다고 해서 소추(素秋), 겨울은 어둡고 춥다는 점에서 현동(玄冬)이다. 방위로는 동서남북(東西南北)의 순서다. 푸르고(靑) 붉고(朱) 희고(素) 검은(玄) 색이 각각 네 계절의 특징을 드러낸다.
가을을 가리키거나 상징하는 한자는 우선 金(금)과 商(상), 素(소) 등이다. 기운이라는 요소로 볼 때 서쪽은 서늘하다고 해서 쇠(金)를 붙였다.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의 동양 고대 다섯 가지 음(音) 중에서는 상(商)이 가을을 대표한다고 여겼다. 쓸쓸해서 처량함을 느끼게 해주는 음조(音調)다.
그래서 가을을 일컫는 단어들은 이 글자들을 엮어 금추(金秋)·금상(金商)·금소(金素)·상추(商秋)·상소(商素)·백상(白商)·소상(素商) 등으로 적었다. 각 계절은 세 단계로 나누는데, 보통 맹(孟)·중(仲)·계(季)다. 초가을 맹추(孟秋)의 별칭은 수추(首秋)와 상추(上秋)다. 중추(仲秋)는 중상(仲商), 늦가을 계추(季秋)는 모추(暮秋)나 말추(末秋)라고도 한다.시간이 속절없이 흐른다는 점을 새삼 일깨우는 계절이 가을이다. 가고 오는 더위와 추위, 즉 한래서왕(寒來暑往)의 기후적인 변화에서 한 해의 끝을 절감토록 해서다. 그 가을에는 이미 익은 곡식들을 거둬들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래서 가을을 수성(收成)의 계절이라고도 적는다. 아울러 안으로 거둬 쟁이는 수렴(收斂)의 의미도 있다. 그에 덧붙여 성찰(省察)과 회고(回顧)를 재촉하는 때이기도 하다. 분주하고 번잡했던 우리사회가 되새겨야 할 가을의 의미다.
유광종 < 중국인문경영연구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