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곤 교수 "상도유치원 5개월 전 현장조사 때 붕괴위험 경고"
입력
수정
"붕괴 우려 큰 편마암 지질…보강공사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듯"다세대주택 공사장 옹벽 붕괴로 기울어진 서울 동작구 서울상도유치원 건물 인근 현장은 수개월 전 현장조사에서 이미 붕괴 위험성이 지적된 곳이었다는 전문가 주장이 나왔다.이수곤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약 5개월 전 서울상도유치원의 의뢰를 받아 3월 31일에 현장점검을 진행한 뒤 붕괴 가능성을 지적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당시 유치원 측으로부터 먼저 의뢰가 왔다.
정확히 어떤 내용인지 기억이 확실하지는 않지만, 균열이 간다든지 어떤 붕괴 징후가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이어 "현장을 나가 지질을 보니 편마암 단층이 한쪽으로 쏠려 위험해 보였다"며 "보강 공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붕괴할 우려가 있다는 리포트를 유치원에 써줬다"고 말했다.
앞서 공사장 흙막이가 무너진 가산동 공사장 역시 편마암 지대이며, 편마암 지대는 붕괴에 취약하다는 게 이 교수의 설명이다.
또 이 교수는 근본적으로 이번 붕괴 사고의 원인은 지질의 특성을 무시한 공사에 있다고 봤다.이 교수는 "최근에 내린 폭우가 일부 영향을 줬을 수는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취약한 지질에서 지질의 특성에 맞지 않는 공사를 강행한 것이 문제"라고 분석했다.
이어 "붕괴 위험성을 지적한 이후 일부 보강이 이뤄졌겠지만, 제대로 된 보강 공사가 이뤄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미 붕괴가 예견됐음에도 적절한 조처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 문제"라며 "4년 전 세월호 참사의 교훈을 우리 사회가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했음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이어 사고 발생현장에서 취재진과 만난 이 교수는 "설계도면을 보면 단층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다"며 "굴착공사를 하면서 지질이 나쁘면 빨리 옹벽을 보완해야 하는데 (이런 조처가 이뤄지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현장을 둘러 본 이 교수는 "지질 조사가 듬성듬성 이뤄진 것도 문제"라며 "편마암 지질은 10m 간격으로 시추공을 뚫어 단층의 방향을 살펴봤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또 이 교수는 "굴착 면의 방향과 단층면의 방향이 같으면 붕괴위험이 커진다"며 "단층면의 경사 방향을 제대로 검토하지 않은 게 문제"라고 말했다.
아울러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굴착 면 위로 시멘트를 치고 시멘트 사이사이에 철근을 넣는데 이 철근이 짧거나 부족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이 교수는 3월31일 현장조사 당시 제출한 자문의견서에서 사고 발생 지점의 지질에 대해 "옹벽 하부의 노출된 암반상태를 관찰해보니, 편마암 내에 긴 단층이 발견되고 단층표면에 점토가 많아 미끄러지기 쉬운 환경"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지질상태가 취약해 철저한 지질 조사 없이 설계·시공을 하게 되면 붕괴할 위험성이 높은 지반"이라며 "좀 더 철저한 지질 조사를 수행해 하부 굴착 사면의 설계를 신중하게 재검토하고 굴착시공을 하길 추천한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당시 ▲ 시추조사, 시추공 내 영상촬영, 지표지질조사를 총괄해 지질상태를 3차원으로 파악할 것 ▲ 토사와 암석 시료를 직접 채취해 전단 강도나 물성치를 구한 뒤 설계에 적용할 것 ▲ 굴착 사면 안정성을 재검토하고 옹벽 상부 구조물의 하중까지 고려해 보강대책을 세울 것을 권고했다.
하지만 자문의견서를 유치원에 제출한 지 5개월이 지나도록 적절한 조처가 이뤄지지 않은 데 대해 이 교수는 "유치원 행정실장에게 자문의견서를 전달했고 행정실장이 구청에 공문을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부터 유치원에서 균열이 심하게 발생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7일 오전 조희연 서울시교육감과 함께 사고 현장을 방문한 유치원 관계자는 취재진에게 "유치원 바닥에 30~40㎜ 크기의 균열이 발생했었다"며 "지속적인 항의에도 감리사 측이 괜찮다고 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교육청이 작성한 '서울상도유치원 재난 발생 현황 보고'에 따르면 유치원은 올해 5월 구조 안전진단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6월과 7월 1·2차 계측에서는 별다른 이상징후가 없었지만 8월 22일 3차 계측에서 이상징후가 발견됐다.한밤중 서울상도유치원 붕괴 위기 날벼락…"비 오자 건물 무너져" / 연합뉴스 (Yonhapnews)
/연합뉴스
이 교수는 "당시 유치원 측으로부터 먼저 의뢰가 왔다.
정확히 어떤 내용인지 기억이 확실하지는 않지만, 균열이 간다든지 어떤 붕괴 징후가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이어 "현장을 나가 지질을 보니 편마암 단층이 한쪽으로 쏠려 위험해 보였다"며 "보강 공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붕괴할 우려가 있다는 리포트를 유치원에 써줬다"고 말했다.
앞서 공사장 흙막이가 무너진 가산동 공사장 역시 편마암 지대이며, 편마암 지대는 붕괴에 취약하다는 게 이 교수의 설명이다.
또 이 교수는 근본적으로 이번 붕괴 사고의 원인은 지질의 특성을 무시한 공사에 있다고 봤다.이 교수는 "최근에 내린 폭우가 일부 영향을 줬을 수는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취약한 지질에서 지질의 특성에 맞지 않는 공사를 강행한 것이 문제"라고 분석했다.
이어 "붕괴 위험성을 지적한 이후 일부 보강이 이뤄졌겠지만, 제대로 된 보강 공사가 이뤄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미 붕괴가 예견됐음에도 적절한 조처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 문제"라며 "4년 전 세월호 참사의 교훈을 우리 사회가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했음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이어 사고 발생현장에서 취재진과 만난 이 교수는 "설계도면을 보면 단층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다"며 "굴착공사를 하면서 지질이 나쁘면 빨리 옹벽을 보완해야 하는데 (이런 조처가 이뤄지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현장을 둘러 본 이 교수는 "지질 조사가 듬성듬성 이뤄진 것도 문제"라며 "편마암 지질은 10m 간격으로 시추공을 뚫어 단층의 방향을 살펴봤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또 이 교수는 "굴착 면의 방향과 단층면의 방향이 같으면 붕괴위험이 커진다"며 "단층면의 경사 방향을 제대로 검토하지 않은 게 문제"라고 말했다.
아울러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굴착 면 위로 시멘트를 치고 시멘트 사이사이에 철근을 넣는데 이 철근이 짧거나 부족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이 교수는 3월31일 현장조사 당시 제출한 자문의견서에서 사고 발생 지점의 지질에 대해 "옹벽 하부의 노출된 암반상태를 관찰해보니, 편마암 내에 긴 단층이 발견되고 단층표면에 점토가 많아 미끄러지기 쉬운 환경"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지질상태가 취약해 철저한 지질 조사 없이 설계·시공을 하게 되면 붕괴할 위험성이 높은 지반"이라며 "좀 더 철저한 지질 조사를 수행해 하부 굴착 사면의 설계를 신중하게 재검토하고 굴착시공을 하길 추천한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당시 ▲ 시추조사, 시추공 내 영상촬영, 지표지질조사를 총괄해 지질상태를 3차원으로 파악할 것 ▲ 토사와 암석 시료를 직접 채취해 전단 강도나 물성치를 구한 뒤 설계에 적용할 것 ▲ 굴착 사면 안정성을 재검토하고 옹벽 상부 구조물의 하중까지 고려해 보강대책을 세울 것을 권고했다.
하지만 자문의견서를 유치원에 제출한 지 5개월이 지나도록 적절한 조처가 이뤄지지 않은 데 대해 이 교수는 "유치원 행정실장에게 자문의견서를 전달했고 행정실장이 구청에 공문을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부터 유치원에서 균열이 심하게 발생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7일 오전 조희연 서울시교육감과 함께 사고 현장을 방문한 유치원 관계자는 취재진에게 "유치원 바닥에 30~40㎜ 크기의 균열이 발생했었다"며 "지속적인 항의에도 감리사 측이 괜찮다고 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교육청이 작성한 '서울상도유치원 재난 발생 현황 보고'에 따르면 유치원은 올해 5월 구조 안전진단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6월과 7월 1·2차 계측에서는 별다른 이상징후가 없었지만 8월 22일 3차 계측에서 이상징후가 발견됐다.한밤중 서울상도유치원 붕괴 위기 날벼락…"비 오자 건물 무너져" / 연합뉴스 (Yonhapnews)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