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는 게 없는 장사'하는 기업 늘었다… 3년 만에 최다
입력
수정
국회예정처 보고서…기업 수익성도 양극화해 체감경기 악화매출액에서 재료비, 인건비 등 각종 비용을 제외하고 나면 적자를 기록한 기업이 3년 만에 가장 많았다.기업 수익성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빚어졌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내는 기업도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8일 국회예산정책처의 '국내 상장기업의 수익성 및 지속성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보면 국내 상장사 가운데 지난해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이 마이너스를 보인 곳은 118개로, 2014년(120개) 이후 가장 많았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매출액과 영업이익(매출-영업비용)을 비교한 값으로,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대표 지표다.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 '마이너스'를 낸 기업은 2015년 113개, 2016년 109개로 줄었다가 다시 증가했다.
일부 기업들을 빼면 전반적으로 기업의 수익성이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상장사 전체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2010년 7.7%에서 2012년 5.5%로 하락한 뒤 상승하고 있지만 2017년 7.0%로 예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글로벌 상장사 중 매출액 상위 300개 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9.3%)보다도 2.3%포인트 낮았다.국내 상장사 간의 수익성 격차도 확대하는 모양새다.
국내 상장사의 매출액 영업이익률 평균값과 중앙값은 2014년 6.0%와 3.9%로 2.1%포인트 차이 났던 데서 점차 벌어져 2017년에는 7.0%와 4.0%로 3.0%포인트가 됐다.중앙값은 전체 상장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을 한 줄로 늘어놓았을 때 정중앙에 있는 값이다.
중앙값이 평균을 밑도는 현상은 일부 상위기업만 수익성이 좋아 전체 평균을 끌어올렸고 다수 기업의 수익성이 나빠 평균치를 하회했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전반적인 체감 기업 경기가 악화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국내 기업들의 장기 성장 가능성도 글로벌 주요 기업들과 견줘 미진한 편이었다.
기업의 이익 중 매년 발생할 수 있는 이익을 토대로 추정한 지속성 계수(0보다 클수록 이익의 지속성이 높음)를 보면 전 세계 매출액 상위 300대 기업은 0.967, 아시아 선진국 매출액 상위 300대 기업은 0.994였으나 한국 전체 상장기업은 0.616에 그쳤다.
국내 상장사 내에선 상위 100대 기업의 지속성 계수는 0.726이었으나 101위 이하는 0.293으로 낮았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지속성 계수가 0.803, 출판 및 방송통신서비스업은 0.882였으나 유통업은 0.329, 운수업은 0.295로 저조했다.보고서는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 기업의 수익구조 개선, 영업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는 일이 시급하다"며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으로 수익원을 발굴하거나 영업활동 비용 구조를 혁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8일 국회예산정책처의 '국내 상장기업의 수익성 및 지속성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보면 국내 상장사 가운데 지난해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이 마이너스를 보인 곳은 118개로, 2014년(120개) 이후 가장 많았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매출액과 영업이익(매출-영업비용)을 비교한 값으로,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대표 지표다.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 '마이너스'를 낸 기업은 2015년 113개, 2016년 109개로 줄었다가 다시 증가했다.
일부 기업들을 빼면 전반적으로 기업의 수익성이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상장사 전체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2010년 7.7%에서 2012년 5.5%로 하락한 뒤 상승하고 있지만 2017년 7.0%로 예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글로벌 상장사 중 매출액 상위 300개 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9.3%)보다도 2.3%포인트 낮았다.국내 상장사 간의 수익성 격차도 확대하는 모양새다.
국내 상장사의 매출액 영업이익률 평균값과 중앙값은 2014년 6.0%와 3.9%로 2.1%포인트 차이 났던 데서 점차 벌어져 2017년에는 7.0%와 4.0%로 3.0%포인트가 됐다.중앙값은 전체 상장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을 한 줄로 늘어놓았을 때 정중앙에 있는 값이다.
중앙값이 평균을 밑도는 현상은 일부 상위기업만 수익성이 좋아 전체 평균을 끌어올렸고 다수 기업의 수익성이 나빠 평균치를 하회했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전반적인 체감 기업 경기가 악화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국내 기업들의 장기 성장 가능성도 글로벌 주요 기업들과 견줘 미진한 편이었다.
기업의 이익 중 매년 발생할 수 있는 이익을 토대로 추정한 지속성 계수(0보다 클수록 이익의 지속성이 높음)를 보면 전 세계 매출액 상위 300대 기업은 0.967, 아시아 선진국 매출액 상위 300대 기업은 0.994였으나 한국 전체 상장기업은 0.616에 그쳤다.
국내 상장사 내에선 상위 100대 기업의 지속성 계수는 0.726이었으나 101위 이하는 0.293으로 낮았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지속성 계수가 0.803, 출판 및 방송통신서비스업은 0.882였으나 유통업은 0.329, 운수업은 0.295로 저조했다.보고서는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 기업의 수익구조 개선, 영업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는 일이 시급하다"며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으로 수익원을 발굴하거나 영업활동 비용 구조를 혁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