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먼 메르스 치료제… 정부 투자·규제완화 관건
입력
수정
지면A18
임상환자 수·개발비 부족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환자가 3년 만에 다시 발생하면서 치료제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신속 허가제 등 지원 필요

일양약품은 백혈병 치료제로 허가받은 ‘슈펙트’(성분명 라도티닙)를 메르스 바이러스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2015년 국내에 메르스가 첫 발병했을 때 슈펙트의 항바이러스 효과가 주목받았으나 식약처의 허가를 받지 못해 사용하지 못했다. 일양약품은 2016년 정부가 공모한 ‘신·변종 바이러스 원천 기술개발’ 연구과제에서 메르스 치료제 개발 업체로 선정돼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환자 모집이 어려운 데다 연구개발비를 조달하지 못해 임상을 시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메르스는 세계적으로 치료제가 없다. 수조원의 개발비가 들고 성공 가능성이 낮은 데 비해 수익성이 떨어져 민간 기업이 뛰어들지 않고 있다. 환자 수가 많지 않다는 점도 치료제 개발을 더디게 하는 이유다.메르스 치료제 공백 사태를 막기 위해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가 메르스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에볼라 백신처럼 신속 허가 제도를 도입하고 임상 요건을 완화하는 등 제도적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외부 지원을 받지 않고선 메르스 치료제 및 백신을 개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메르스 치료제 개발을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