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어린이집 통학버스에 '잠자는 아이 확인장치' 전면 설치
입력
수정
어린이집 부담금 없어…장치 방식은 자치구별로 선정
서울시가 시내 어린이집 통학버스에 '잠자는 아이 확인장치'를 전면적으로 설치한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시는 시내 어린이집 통학차량 총 1천538대 중 '잠자는 아이 확인장치'를 신청한 차량 전부에 해당하는 1천468대에 올해 안으로 해당 장치를 설치한다.
국비와 시비를 절반씩 지원하는 사업이어서 어린이집 부담금은 없다.
통학버스 1대당 최대 20만원까지 국·시비 총 3억 원이 10월까지 투입된다.
20만원 이상의 비용이 발생할 경우 자치구가 자체 예산으로 부담한다.
이는 어린이가 통학버스에서 제때 하차하지 못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아이의 하차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의무화됐음에도 지난 7월 경기 동두천의 한 어린이집 통학버스에서 4살 여아가 장시간 갇혀 숨지는 등 사고가 끊이지 않는 문제를 타개하기 위한 것이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잠자는 아이 확인장치'는 벨 방식, NFC 방식, 비콘 방식 등이 있다.
시는 어린이집별, 학부모별로 선호하는 장치가 다양한 점을 고려해 학부모, 어린이집, 관계 공무원의 의견이 모두 반영될 수 있도록 자치구별로 자체선정심의회를 구성해 심의 결과에 따라 장치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시내 어린이집 통학버스에 '잠자는 아이 확인장치'를 전면적으로 설치한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시는 시내 어린이집 통학차량 총 1천538대 중 '잠자는 아이 확인장치'를 신청한 차량 전부에 해당하는 1천468대에 올해 안으로 해당 장치를 설치한다.
국비와 시비를 절반씩 지원하는 사업이어서 어린이집 부담금은 없다.
통학버스 1대당 최대 20만원까지 국·시비 총 3억 원이 10월까지 투입된다.
20만원 이상의 비용이 발생할 경우 자치구가 자체 예산으로 부담한다.
이는 어린이가 통학버스에서 제때 하차하지 못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아이의 하차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의무화됐음에도 지난 7월 경기 동두천의 한 어린이집 통학버스에서 4살 여아가 장시간 갇혀 숨지는 등 사고가 끊이지 않는 문제를 타개하기 위한 것이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잠자는 아이 확인장치'는 벨 방식, NFC 방식, 비콘 방식 등이 있다.
시는 어린이집별, 학부모별로 선호하는 장치가 다양한 점을 고려해 학부모, 어린이집, 관계 공무원의 의견이 모두 반영될 수 있도록 자치구별로 자체선정심의회를 구성해 심의 결과에 따라 장치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