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속 다양한 인간 군상의 '성찬'
입력
수정
지면A31
뮤지컬 '지하철 1호선' 공연 재개인간 군상의 성찬이 펼쳐졌다. 10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오른 뮤지컬 ‘지하철 1호선’ (사진)얘기다. 1997년 외환위기 직후 달리는 지하철 1호선을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 비참한 시대의 중심에 다양한 캐릭터들을 대거 배치해 인간성의 상실과 회복을 끊임없이 얘기한다.
지하철 1호선은 지난 8일부터 오는 12월30일까지 서울 대학로 학전블루 소극장에서 열린다. 이 작품은 1994년부터 2008년까지 4000회에 걸쳐 무대에 올랐다. 관객만 총 73만 명을 동원했다. 연출은 김민기 극단 학전 대표가 그대로 맡았다. 11일 오프닝 성격으로 열린 제막식과 공연에 이 작품을 거쳐간 설경구, 김윤석, 장현성, 배해선 등 유명 배우와 공연계 인사들이 총출동했다.이야기는 중국 옌볜에서 약혼자 ‘제비(배우 김태영)’를 만나기 위해 서울에 온 ‘선녀(장혜민)’가 지하철 1호선을 타면서 시작된다. 선녀는 지하철 안과 지하철역 주변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그 인물만 97명이다. 이들의 모습은 오늘날 사람들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회장 아들의 갑질에 시달리다 회사에서 해고된 한 가장, 지하철 안에서 고무장갑을 팔고 있는 사람, 포장마차를 하며 단속반과 싸워야 하는 곰보할매 등은 지금도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소소한 웃음을 자아내는 동시에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는 이 사회의 자화상을 들이민다.
하지만 시간이 많이 흐른 탓인지 작품 속 시기와 현재의 시대적 괴리감은 더욱 커진 느낌이었다. 과거와 현재 지하철 안의 모습이 사뭇 달라 공감하기 어려운 부분이 눈에 띄었다. 현재 지하철 안에선 각자 스마트폰을 바라보기 바쁘고 서로에게 무관심하다. 그런데 작품 속 지하철 안에선 사람들이 끊임없이 누군가를 바라보고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인위적인 느낌을 준다. 무대와 구성 자체도 고전적인 어법을 그대로 가져오다 보니 젊은 세대에게 어필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이날 제막식과 공연에 참석한 최준호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교수는 “브로드웨이 작품들이 들어오기 시작한 시점에 우리만의 이야기로 무대를 소화한 작품”이라며 “공연계에서 의미가 큰 작품이 다시 무대에 오른 것만으로도 뮤지컬사에서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