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5G 장비 선택 안 한 SK텔레콤… KT·LG유플러스는
입력
수정
이달 중 장비업체 선정… LG유플러스는 도입 유력·KT는 고심 중
보안 논란·비판 여론이 '걸림돌'… "추후 채택 가능성도"SK텔레콤이 차세대 이동통신 5G 네트워크 장비업체로 삼성전자·에릭슨·노키아를 선택, 화웨이 장비는 쓰지 않기로 함에 따라 남은 이통사 두 곳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다.양사는 이달 중으로 5G 장비업체를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이 중 LG유플러스는 기존 LTE 무선 장비와 연동을 이유로 화웨이의 장비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KT는 화웨이 장비 선택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이 화웨이 장비를 채택하지 않기로 한 데는 기존 장비와 연동 효율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5G는 도입 초기 LTE 망을 함께 쓰는 비단독모드(NSA·Non-standalone) 방식으로 서비스된다.
이통사 입장에서는 신속한 망 구축과 관리 안정성 측면에서 LTE 장비를 공급했던 제조사의 제품을 택하는 게 유리하다.
LTE 구축 당시 SK텔레콤과 KT는 권역별로 삼성전자(수도권), 에릭슨(경상), 노키아(전라) 장비를 도입했고, LG유플러스는 여기에 화웨이(수도권)까지 총 4개사 제품을 선정했다.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이통 3사 중 LG유플러스가 화웨이의 5G 장비를 채택할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보고 있다.
LG유플러스 역시 기존 장비와 연동을 이유로 화웨이를 유력 업체로 꼽아왔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큰 기류 변화는 없다"며 "장비업체는 아직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반면 화웨이 LTE 장비를 쓰지 않은 KT는 비슷한 이유로 도입 가능성이 적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경쟁사인 SK텔레콤이 화웨이 장비를 채택하지 않은 데다 '국민 기업'을 내세워온 만큼 중국산 장비로 5G 상용화를 한다는 비판 여론도 무시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KT 측은 말을 아끼며 "세계 최고 수준의 5G 네트워크 제공을 위해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장비업체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SK텔레콤 역시 표면적으로 장비 품질을 내세웠지만, 비판 여론을 무시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파악된다.
국내 1등 이통사에 기업, 기관 고객이 많아 내부에서도 화웨이 장비 도입에 비판적인 의견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화웨이 장비의 앞선 기술력과 가격을 고려할 때 이통사들이 무조건 배제하기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화웨이의 5G 장비는 국내 전국망 대역인 3.5㎓(기가헤르츠)에서 경쟁사를 크게 앞선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경쟁사보다 1분기 이상 빨리 개발된 데다 숱한 성능시험을 거치며 안정성을 확보했고, 가격도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끊이지 않는 보안 논란이 최대 걸림돌로 꼽혀왔다.2012년 미국에서 화웨이의 장비가 스파이 활동에 악용될 수 있다는 의회 보고서가 나오면서 화웨이는 사실상 미국 통신장비 시장에서 배제된 상태다.
호주 정부도 최근 5G 사업에 화웨이의 참가를 금지했고, 일본 정부 역시 정보 유출을 우려해 화웨이 장비에 대한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
화웨이가 주춤하는 사이 경쟁사인 삼성전자는 미국 1위 이통사 버라이즌, 4위 스프린트에 이어 2위 통신사업자 AT&T의 5G 통신장비 공급 업체로 선정됐다.
28㎓ 대역에 주력해온 삼성전자는 3.5㎓ 대역에서는 화웨이에 밀린다는 평가지만, 3.5㎓ 대역에서도 최고의 제품을 적기에 공급하겠다며 맞불을 놓은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화웨이와 경쟁사 간 기술력과 가격 차가 많이 좁혀졌다"며 "다른 제조사 장비로도 상용화 일정을 맞추는 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5G 망 구축이 장기에 걸쳐 이뤄지는 만큼 화웨이 장비가 아예 배제된 것은 아니라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5G는 비단독모드를 거쳐 5G 네트워크만을 쓰는 단독모드(SA·Standalone)로 진화하는데, 이 단계에서 화웨이 장비가 도입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화웨이는 내년 3월 이동통신표준화단체 3GPP가 정한 5G 단독 규격 시스템을 선보일 계획이다.
화웨이의 국내 공급망은 이미 구축된 상태다.
이통 3사는 LTE 유선 장비 일부를 화웨이 제품으로 쓰고 있다.게다가 글로벌 통신장비시장 1위(IHS마켓 기준 점유율 28%) 업체인 만큼 5G 시장에서도 완전 배제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보안 논란·비판 여론이 '걸림돌'… "추후 채택 가능성도"SK텔레콤이 차세대 이동통신 5G 네트워크 장비업체로 삼성전자·에릭슨·노키아를 선택, 화웨이 장비는 쓰지 않기로 함에 따라 남은 이통사 두 곳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다.양사는 이달 중으로 5G 장비업체를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이 중 LG유플러스는 기존 LTE 무선 장비와 연동을 이유로 화웨이의 장비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KT는 화웨이 장비 선택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이 화웨이 장비를 채택하지 않기로 한 데는 기존 장비와 연동 효율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5G는 도입 초기 LTE 망을 함께 쓰는 비단독모드(NSA·Non-standalone) 방식으로 서비스된다.
이통사 입장에서는 신속한 망 구축과 관리 안정성 측면에서 LTE 장비를 공급했던 제조사의 제품을 택하는 게 유리하다.
LTE 구축 당시 SK텔레콤과 KT는 권역별로 삼성전자(수도권), 에릭슨(경상), 노키아(전라) 장비를 도입했고, LG유플러스는 여기에 화웨이(수도권)까지 총 4개사 제품을 선정했다.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이통 3사 중 LG유플러스가 화웨이의 5G 장비를 채택할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보고 있다.
LG유플러스 역시 기존 장비와 연동을 이유로 화웨이를 유력 업체로 꼽아왔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큰 기류 변화는 없다"며 "장비업체는 아직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반면 화웨이 LTE 장비를 쓰지 않은 KT는 비슷한 이유로 도입 가능성이 적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경쟁사인 SK텔레콤이 화웨이 장비를 채택하지 않은 데다 '국민 기업'을 내세워온 만큼 중국산 장비로 5G 상용화를 한다는 비판 여론도 무시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KT 측은 말을 아끼며 "세계 최고 수준의 5G 네트워크 제공을 위해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장비업체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SK텔레콤 역시 표면적으로 장비 품질을 내세웠지만, 비판 여론을 무시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파악된다.
국내 1등 이통사에 기업, 기관 고객이 많아 내부에서도 화웨이 장비 도입에 비판적인 의견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화웨이 장비의 앞선 기술력과 가격을 고려할 때 이통사들이 무조건 배제하기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화웨이의 5G 장비는 국내 전국망 대역인 3.5㎓(기가헤르츠)에서 경쟁사를 크게 앞선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경쟁사보다 1분기 이상 빨리 개발된 데다 숱한 성능시험을 거치며 안정성을 확보했고, 가격도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끊이지 않는 보안 논란이 최대 걸림돌로 꼽혀왔다.2012년 미국에서 화웨이의 장비가 스파이 활동에 악용될 수 있다는 의회 보고서가 나오면서 화웨이는 사실상 미국 통신장비 시장에서 배제된 상태다.
호주 정부도 최근 5G 사업에 화웨이의 참가를 금지했고, 일본 정부 역시 정보 유출을 우려해 화웨이 장비에 대한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
화웨이가 주춤하는 사이 경쟁사인 삼성전자는 미국 1위 이통사 버라이즌, 4위 스프린트에 이어 2위 통신사업자 AT&T의 5G 통신장비 공급 업체로 선정됐다.
28㎓ 대역에 주력해온 삼성전자는 3.5㎓ 대역에서는 화웨이에 밀린다는 평가지만, 3.5㎓ 대역에서도 최고의 제품을 적기에 공급하겠다며 맞불을 놓은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화웨이와 경쟁사 간 기술력과 가격 차가 많이 좁혀졌다"며 "다른 제조사 장비로도 상용화 일정을 맞추는 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5G 망 구축이 장기에 걸쳐 이뤄지는 만큼 화웨이 장비가 아예 배제된 것은 아니라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5G는 비단독모드를 거쳐 5G 네트워크만을 쓰는 단독모드(SA·Standalone)로 진화하는데, 이 단계에서 화웨이 장비가 도입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화웨이는 내년 3월 이동통신표준화단체 3GPP가 정한 5G 단독 규격 시스템을 선보일 계획이다.
화웨이의 국내 공급망은 이미 구축된 상태다.
이통 3사는 LTE 유선 장비 일부를 화웨이 제품으로 쓰고 있다.게다가 글로벌 통신장비시장 1위(IHS마켓 기준 점유율 28%) 업체인 만큼 5G 시장에서도 완전 배제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