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기 편한 '말린 채소' 아이디어… 연매출 40억 CEO된 가정주부
입력
수정
지면A25
조금자 맑은샘자연교육농원 대표“귀농한 후 채소를 키웠어요. 잘 자란 채소를 주위 사람들과 나눠 먹고 가족들에게도 보냈죠. 그런데 서울 사는 딸 자취방에 가보면 항상 채소가 썩어 있더라고요. ‘먹기가 불편하다’는 거예요. 고민을 하기 시작했어요.”
귀농 후 정성 들여 기른 채소
정작 아이들은 먹기 싫어해 고민
감자·무·우엉·호박 등 9가지 채소
잘게 썰어 말린 '채소 잡곡' 출시
처음엔 재고 쌓여 5억 빚더미 올라
식품박람회 발로 뛰다 홈쇼핑 진출
인근 농가 계약 재배로 '상생효과'
채소는 부모와 자녀들이 식탁에서 갈등을 빚게 하는 음식 중 하나다. 채소를 먹이려는 부모와 안 먹으려는 아이들이 대립한다. 청년이 돼서도 논쟁은 끝나지 않는다. 조금자 맑은샘자연교육농원 대표(사진)도 같은 문제를 겪고 있었다. 조 대표의 선택은 ‘먹기 편하고 거부감 없는 채소 만들기’였다. 채소를 말려 밥 지을 때 잡곡처럼 넣어 먹으면 어떨까라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다.올 상반기에만 20억여원의 매출을 올린 조 대표의 ‘채소잡곡’은 그렇게 탄생했다. 전북 정읍시에 있는 채소 건조장을 찾았다. 평범했던 가정주부가 연매출 40억원을 바라보는 유망한 농식품회사 대표가 된 여정이 궁금했다. 채소잡곡은 감자·강황·고구마·당근·무·비트·우엉·표고버섯·호박 등 아홉 가지 채소를 잘게 썰어 말린 건조 채소다. 제품명은 밥을 지을 때 잡곡처럼 넣어 먹는다는 의미로 지었다.
채소 말리는 게 그리 단순하지 않았다. 채소마다 물성이 달라 건조 방법도 제각각이었다. 채소별로 다양한 건조법을 연구했다. 예컨대 무는 1t을 말리면 40㎏으로 쪼그라든다. 수분이 많아 건조할 때 습도 조절이 중요하다. 호박은 그냥 말리면 진액이 나온다. 채소 특유의 풋내를 잡는 것도 중요했다. 가장 어려웠던 건 우엉이다. 우엉에서 나는 한약 냄새를 잡는 데 많은 시간을 들였다. 건조에 자신을 얻은 조 대표는 제품군 확장에 나섰다. 채소를 채썰어 말린 채소볼을 개발했다. 잡채와 같은 반찬을 할 때 유용하다는 설명이다.
조 대표의 채소잡곡은 2013년 전북 농가공 식품 아이디어 콘테스트에서 대상을 받았다. 채소볼은 2017년 농식품창업콘테스트 ‘나는 농부다 시즌 3’에서 대통령상을 받았다. 공영홈쇼핑과 NS홈쇼핑 등 농산물 특화 홈쇼핑에서 주로 판매하고 있다.
채소잡곡이 성공하기까지 조 대표는 세 차례의 큰 위기를 겪었다. 첫 위기는 귀농 초기에 있었다. 그는 2006년 귀농했다. 전주에서 생물 교사로 재직 중인 남편이 정년을 맞기 10년 전 먼저 내려왔다. “남편이 나비 연구로 석사 논문까지 썼어요. 정읍에 내려와 내장산 나비를 체험하는 곤충교육농장을 만드는 게 꿈이었죠.”
구입한 5000여 평의 농장 규모가 버겁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첫 위기였다. “넓은 농장이 점차 감당이 안 되는 거예요. 어떻게 농장을 운영해야 할지도 모르겠고요. 다시 도시로 가고 싶더라고요.”2010년 무렵 조 대표는 그제서야 배워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교육기관을 찾아다녔다. 교육은 2년간 이어졌다. 2012년 맑은샘자연교육농장은 농촌교육농장으로 지정을 받았다. 오디 수확체험 등 관련 서비스도 시작했다. 하지만 오래가진 않았다. 위기가 아닌 기회가 찾아와서다. 조 대표는 “교육농장을 해보려고 할 참에 채소잡곡이 개발되면서 교육농장은 잠시 멈춘 상태”라고 말했다.
위기는 기회와 함께 찾아왔다. 채소잡곡으로 농가공 식품 콘테스트에서 대상을 받은 직후였다. 상금 1억원을 종잣돈으로 공장을 지었는데 예상한 것보다 비용이 많이 들었다. “금방 잘될 줄 알았어요. 그래서 공장 규모도 키웠는데 안 팔리더라고요.” 재고가 3억원어치나 쌓였다. 2014년 빚이 5억원까지 늘었다. 온갖 식품 박람회를 쫓아다녔다. 전국 단위의 유통채널에 제품을 내지 않고서는 가망이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던 중 2015년 8월 공영홈쇼핑 바이어를 만나면서 해결의 실마리가 잡혔다. 신생 공영홈쇼핑은 단독으로 파는 ‘스타 농산물’을 필요로 했고 조 대표는 전국 단위의 판로가 절실했다. 상황이 묘하게 맞아들어갔다. 2015년 10월26일 오후 2시40분 첫 판매방송을 했다. 조 대표는 날짜와 시간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2시40분은 비인기 시간대였지만 채소잡곡은 불티나게 팔렸다. “방송 40분 만에 준비한 800세트를 모두 팔았어요. 연말까지 계속 방송이 잡혔고 3억원어치의 재고를 모두 소진하고 총 4억8000만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성공 가도만 남은 것 같았다.그러나 세 번째 위기가 찾아왔다. 유사 제품이 쏟아졌다. “채소 종류를 싼 것으로 바꾸고 가격을 후려치는 방식으로 가격 경쟁을 하니까 버틸 수가 없더라고요.”
위기 극복은 큰 기대를 하지 않았던 편강이었다. 생강과 설탕을 섞어 가공한 편강은 지난해 히트를 쳤다. 홈쇼핑과 편강 판매 방송을 잡으면서 채소잡곡도 함께 팔자고 제안했죠. 그제서야 판매가 다시 본궤도에 올랐다. 조 대표는 농산물 큰손이다. 그의 제품 재료는 모두 국산이다. 지난해 인근 농가 계약재배로 사들인 농산물만 1200t에 이른다.
정읍=FARM 강진규 기자
전문은 ☞ m.blog.naver.com/nong-up/221338146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