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서비스업 10개월째 '원인 불명' 취업 급감

교육정책 충격파 없었는데도
작년 11월부터 감소세 이어져

세부적 통계 기준 불분명
정부는 원인 파악도 못해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탓"
"온라인 강의 확산 영향"
전문가들 분석 엇갈려
‘고용쇼크’가 올 들어 한국 경제의 최대 현안으로 부상한 가운데 교육서비스업에서도 유례없는 수준의 취업자 수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교육서비스업 분야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8월까지 10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수가 줄었다. 그러나 교육업계에서조차 취업자 수 감소 현상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뚜렷한 근거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교육정책 변화 없었는데 이례적 감소통계청의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이 기간 전체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 가운데 고용 사정이 유독 안 좋은 분야 중 하나가 교육서비스업이다. 국공립 및 사립학교 교직원, 교육산업, 학원 등이 모두 포함된 교육서비스업의 8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3만6000명 줄었다. 표준산업분류상 21개 대분류 산업 중 다섯 번째로 감소폭이 컸다. 지난해 교육서비스업은 10월까지 월평균 5만6000명의 취업자 수 증가세를 유지했다. 그런데 11월부터 감소세로 돌아서더니 올해 4~6월엔 전년 동기에 비해 10만 명 안팎의 감소세를 보였다.

최근의 교육서비스업 취업자 수 급감은 이례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1993년 이후 약 25년간 이 분야에서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10개월 연속 감소한 적은 2010년 7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한 번밖에 없었다. 이때를 제외하면 외환위기 때인 1997년 전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했던 2008년 전후에도 취업자 수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2010년 하반기는 정부가 외국어고 과학고 등 특목고의 학교별 고사를 금지한 여파로 그때까지 번성하던 특목고 입시 학원들이 일제히 문을 닫았기 때문”이라며 “올 들어선 고용시장에 충격파를 줄 만큼 중대한 교육정책 변화는 없었다”고 말했다.

◆‘최저임금 인상’ 등 가설만 난무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교육서비스업 분야의 취업자 수가 급감한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기획재정부, 통계청, 교육부 등에 문의했지만 어느 곳에서도 속시원한 답변을 듣지 못했다고 한다.

교육서비스업 분야의 취업자 수 급감 이유가 베일에 가려진 근본 원인은 통계청의 조사 방식에 있다. 통계청은 취업자 수를 조사할 때 21개 대분류를 기준으로 산업별 취업자 수를 파악한다. 그런데 제조업을 비롯해 17개 산업은 내부적으로 복수의 중분류를 적용해 취업자 수를 조사하지만 교육서비스업을 비롯한 4개 산업은 그런 중분류 자체가 없다. 이 때문에 교육서비스업 분야 취업자 수가 급격히 변동돼도 세부적으로 어떤 산업에서 원인을 제공했는지 알 수 없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전문가들은 다양한 ‘가설’만 제시하고 있다. 우선 공교육 분야는 취업자 수 급감과 관계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교사들은 정년보장이 확실히 되는 데다 매년 신규 선발 인원도 일정하기 때문이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취업자 수 감소를 초래했을 것이란 가설도 있다. 하지만 국내 최대 교육기업인 대교, 메이저 학원기업인 이투스 등 대다수 교육업체는 “최저임금 인상 때문에 구조조정을 단행하거나 사람을 덜 뽑진 않았다”고 밝혔다.일각에서는 정보통신기술 발달로 온라인 강의가 갈수록 대중화되고 있는 것이 고용여건 악화를 유발했을 것이란 추정도 내놓고 있다. 한 국책연구소의 교육담당 연구위원은 “확실한 원인을 알 순 없지만 교육서비스업 분야에는 일자리가 줄어들 만한 요인이 다양하다”며 “향후 대학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취업자 수 감소세는 더 가속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