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황산 부석사, 무량수전·석등'단아한 조화'
입력
수정
지면D7
가을엔 역사 속으로경북 영주시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부석사를 상징하는 건축물은 국보 제18호로 지정된 무량수전이다.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건물로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안동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과 더불어 오래된 건물로서 고대 사찰건축의 구조를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를 간결한 형태로 기둥 위에만 짜올린 주심포 양식이다. 특히 지붕 처마를 받치는 장식인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의 기본 수법을 가장 잘 남기고 있는 대표적인 건물로 평가받고 있다. 장식적인 요소가 적은 세부 수법으로 후세의 건물에서 볼 수 있는 방식이다. 여기에 무량수전의 기둥은 중간이 굵고 위아래로 가면서 점차 가늘어지는 배흘림 주형(柱形)으로 지어졌다. 구조상의 안정성과 착시현상을 교정하기 위한 기법으로 서양 건축의 엔타시스와 같은 방식이다.
건물 안에는 다른 불전과 달리 불전의 옆면에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아미타여래불상을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짓고 고려 현종(재위 1009∼1031) 때 고쳐 지었지만 공민왕 7년(1358)에 불에 타 버렸다. 지금 있는 건물은 고려 우왕 2년(1376)에 다시 짓고 광해군 때 새로 단청한 것으로 1916년에 해체·수리 공사를 했다.
부석사 무량수전 앞에 세워져 있는 석등은 무량수전에 앞서 국보 제17호로 지정됐다.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아름다운 석등으로, 비례의 조화가 아름답고,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멋을 지니고 있다.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고 해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한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