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온도차… 한미 경제성장률도 3년만에 역전하나
입력
수정
올해 자국 성장률 전망치 미 연준 3.1% 對 한은 2.9%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미국보다 낮아지는 '역전'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미국 경제가 '강한' 경기 확장세를 유지하는 반면 한국은 성장 동력에 좀처럼 힘이 붙지 않는 모습이다.
미 연방준비제도는 26일(현지시간)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연 2.8%에서 3.1%로 상향조정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미국 경제가 현재 "특별히 빛나는(bright) 순간"에 있다고 평가했다.연준 전망대로라면 올해 성장률은 2005년(3.5%) 이래 가장 높다.
2016년 1.6%, 2017년 2.2%였다.
반면 한국은 올해 3% 성장이 어렵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정부도 올해 성장률 전망을 2.9%로 낮췄다.
사실상 3% 성장 목표를 접은 셈이다.
한국은행은 다음 달에 성장률 전망치를 현재 2.9%에서 더 낮출 것이 확실시된다.당초 3.0%였는데 올해 들어 두 차례 내리는 것이다.
한은이 2.7%까지 하향 조정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렇게 되면 잠재성장률(2.8∼2.9%) 수준보다 낮아진다.
한국 경제성장률이 미국보다 낮아진 것은 2015년 이래 3년 만이다.
당시 미국은 2.9%, 한국은 2.8%였다.
양국 중앙은행 전망대로라면 올해 성장률 역전 폭은 외환위기 이래 가장 커진다.
1998년에 한국이 -5.5%였고 미국은 4.5%였다.
그 이후 역전은 2015년 단 한차례였고 폭도 0.1%포인트에 그쳤다.
두 나라 경기는 온도 차가 확연하다.
미국은 뜨겁게 달아올랐고 한국은 온기가 식고 있다.
한은은 '견실한 성장세가 이어졌다'고 평가하지만 경제주체들 체감과는 차이가 있어 보인다.투자는 위축되고 일자리 사정이 좋지 않다.
산업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지만 이를 대체할 새로운 산업이 눈에 띄지 않는다.
고용 창출력은 떨어지고 있다.
저금리로 유동성이 풍부하지만 생산적인 효과를 충분히 내지 못한다.
부동산 시장으로 자금이 쏠리며 위험을 높인다.
게다가 앞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커서 시야가 흐리다.
미중 무역분쟁과 미 금리인상 등이 어떤 영향을 줄지 예측하기 어렵다.
대부분 금융기관이 내년 성장률을 올해보다 낮게 보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정부는 혁신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김동연 부총리는 27일 제6차 혁신성장관계장관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산업구조 재편, 혁신성장을 통한 8대 선도산업이나 플랫폼 경제뿐 아니라 주력 제조업 대상 산업재편, 수출 다변화를 포함한 국제 협력 다양화를 통해 우리 경제가 외부의 어떤 상황 변화에도 충분히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미국보다 낮아지는 '역전'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미국 경제가 '강한' 경기 확장세를 유지하는 반면 한국은 성장 동력에 좀처럼 힘이 붙지 않는 모습이다.
미 연방준비제도는 26일(현지시간)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연 2.8%에서 3.1%로 상향조정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미국 경제가 현재 "특별히 빛나는(bright) 순간"에 있다고 평가했다.연준 전망대로라면 올해 성장률은 2005년(3.5%) 이래 가장 높다.
2016년 1.6%, 2017년 2.2%였다.
반면 한국은 올해 3% 성장이 어렵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정부도 올해 성장률 전망을 2.9%로 낮췄다.
사실상 3% 성장 목표를 접은 셈이다.
한국은행은 다음 달에 성장률 전망치를 현재 2.9%에서 더 낮출 것이 확실시된다.당초 3.0%였는데 올해 들어 두 차례 내리는 것이다.
한은이 2.7%까지 하향 조정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렇게 되면 잠재성장률(2.8∼2.9%) 수준보다 낮아진다.
한국 경제성장률이 미국보다 낮아진 것은 2015년 이래 3년 만이다.
당시 미국은 2.9%, 한국은 2.8%였다.
양국 중앙은행 전망대로라면 올해 성장률 역전 폭은 외환위기 이래 가장 커진다.
1998년에 한국이 -5.5%였고 미국은 4.5%였다.
그 이후 역전은 2015년 단 한차례였고 폭도 0.1%포인트에 그쳤다.
두 나라 경기는 온도 차가 확연하다.
미국은 뜨겁게 달아올랐고 한국은 온기가 식고 있다.
한은은 '견실한 성장세가 이어졌다'고 평가하지만 경제주체들 체감과는 차이가 있어 보인다.투자는 위축되고 일자리 사정이 좋지 않다.
산업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지만 이를 대체할 새로운 산업이 눈에 띄지 않는다.
고용 창출력은 떨어지고 있다.
저금리로 유동성이 풍부하지만 생산적인 효과를 충분히 내지 못한다.
부동산 시장으로 자금이 쏠리며 위험을 높인다.
게다가 앞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커서 시야가 흐리다.
미중 무역분쟁과 미 금리인상 등이 어떤 영향을 줄지 예측하기 어렵다.
대부분 금융기관이 내년 성장률을 올해보다 낮게 보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정부는 혁신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김동연 부총리는 27일 제6차 혁신성장관계장관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산업구조 재편, 혁신성장을 통한 8대 선도산업이나 플랫폼 경제뿐 아니라 주력 제조업 대상 산업재편, 수출 다변화를 포함한 국제 협력 다양화를 통해 우리 경제가 외부의 어떤 상황 변화에도 충분히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