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쿨 검사도 'SKY 쏠림'… 4명 중 1명 '특목고' 출신
입력
수정
지면A27
정갑윤 의원 국감자료지난 7년간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을 졸업한 뒤 임용된 검사 336명 중 67.5%인 227명이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방대 출신은 3.6%인 12명에 불과해 소위 명문대 출신 쏠림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출신 고교별로 보면 대원외고 명덕외고 서울과학고 등 특목고 출신이 가장 많았다.
7년간 임용자 336명 중
외고 출신 61명으로 '최다'
대원외고 15명, 명덕외고 12명
SKY대 출신 67% 압도적
지방은 경북대 3명 등 12명 불과
올해는 지방대 0, 서울대 18명
◆대원외고, 법조인 최다 배출28일 법무부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정갑윤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신규 검사들의 출신 고교는 외국어고등학교가 가장 많았다.
전체의 18.1%인 61명이 외고 출신이었다. 대원외고 출신이 15명(전체의 4.5%)으로 가장 많았고 명덕외고(12명), 한영외고(7명), 대전외고·서울외고(5명) 순이었다. 서울과학고(6명), 경기과학고(3명) 등 과학고 출신도 전체의 6.2%인 21명을 차지했다.

◆‘SKY’ 쏠림 지속… 올 지방대 0명
신규 검사의 출신 대학은 서울대가 전체 33%인 111명으로 가장 많았고 연세대 64명(19%), 고려대가 52명(15.5%)이었다. 소위 ‘SKY’ 출신이 67.5%나 됐다. 이어 성균관대(25명), 이화여대(14명), 경찰대(11명), KAIST(10명), 한양대(9명), 중앙대(6명) 순이었다.지방대는 경북대가 3명, 전남대·인하대·한동대 각 2명 등 모두 12명뿐이었다. 정 의원은 “올해 로스쿨 출신 검사 임용자가 작년에 비해 50%가량 증가한 73명이나 됐지만 지방대 출신은 한 명도 없었다”며 “법무부도 다른 부처와 마찬가지로 지역 우수 인재 육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로스쿨 입학생 역시 특정 대학 쏠림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집계됐다. 교육부에 따르면 2011~2015년 기준 전국 25개 로스쿨 입학생 59%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 등 5개 대학 출신이다. 교육부는 로스쿨 도입 취지에 맞게 출신 대학의 다양성을 높이고자 올해 8개 대학에 대해 블라인드면접 등 입학전형 기본사항을 지켰는지 여부를 집중 점검키로 했다.
안대규/구은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