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미 훈련기 수주실패 KAI 경쟁력 강화 지원책 필요"
입력
수정
실·국·본부장 회의서 밝혀…'스마트 경남' 위한 전방위 혁신 주문김경수 경남지사는 1일 록히드마틴과 컨소시엄을 꾸린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미국 공군 고등훈련기 교체사업(APT) 입찰에서 탈락한 것과 관련, "이번 기회에 KAI 경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군수산업보다 민간대형항공기사업과 국가 차원의 항공우주산업을 집중 육성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김 지사는 이날 도정회의실에서 열린 실·국·본부장 회의에서 "KAI가 이번 수주전에 총력을 기울였지만, 결과가 기대에 어긋났다"며 "KAI가 수주하려고 했으면 3조원 이상의 적자를 봐야 할 상황이었고 미국 내에서도 불가피한 사정이 있었다고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오히려 이번 기회에 KAI가 군수산업보다 민간 대형항공기산업을 키워 나가고 국가 차원에서 항공우주산업을 추진해야 한다"며 "경남도와 정부가 함께 서부경남에서 항공우주산업이 더욱 경제성 있고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육성되도록 지원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경남경제를 살리기 위한 전방위적 혁신도 주문했다.그는 "그동안 스마트공장 등 제조업혁신을 집중적으로 강조했는데, 이제는 경남의 전반적인 혁신을 넓혀나가야만 경제도 함께 살아날 수 있다"며 "도가 추진 중인 스마트공장, 스마트 산단, 스마트산업으로 이어지는 제조업혁신과 함께 스마트팜, 스마트양식, 스마트항만, 스마트물류, 스마트시티 등 각 분야 스마트산업을 결합해 나가야 한다"며 '스마트 경남'을 강조했다.
특히 "제조업혁신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도 중요하지만, 일자리를 스마트하게 만드는 것이 꼭 필요하다"며 "중소기업도 좋은 일자리가 될 수 있도록 '경남형 스마트 일자리'를 만들어가자"고 당부했다.
김 지사는 그동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줄여나가는 것과 함께 지방정부가 투자를 통해 산단 주변에 보육과 교육 등 주거여건을 개선해 실질적 임금 격차를 해소하는 '경남형 스마트 일자리' 구상을 틈틈이 강조한 바 있다.그는 오는 2일 서울에서 여는 경남도 투자유치설명회와 관련해 "16개 업체, 3조1천300억원 가까운 투자유치협약을 체결할 예정이고 4천300여명의 신규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며 "기업 투자유치과정뿐 아니라 기업 경영 과정에도 경남도가 할 수 있는 지원 서비스가 있다면 수요자 중심의 원스톱 행정서비스를 갖춰달라"고 주문했다.
김 지사는 자신이 국회의원 시절 발의했던 '지역특구법 전면 개정안'이 지난달 20일 국회에서 통과됨에 따라 "경남의 규제자유특구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 경남이 육성해 나가야 할 전략산업과 규제 샌드박스를 어떻게 적절하게 결합할 것인지를 도와 시·군이 긴밀하게 협의하고 연구해야 한다"는 당부도 했다.
그는 "도의 행정은 직접 할 수 있는 행정도 있지만, 그것보다 시·군을 통해 구현해 나가는 부분이 많을 수밖에 없다"며 "시·군의 중장기 비전이 도가 추진하려는 큰 방향과 함께 나아갈 수 있도록 중재·조정·지원하고 중점적으로 고민해 달라"고 말했다.이밖에 김 지사는 경남교육청과 함께 경남교육을 책임지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고민도 내놨다.
그는 "앞으로 교육자치 확대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교육청에만 교육을 맡겨서는 안 된다"며 "교육자치 최종 책임은 도가 맡고 실행은 교육청이 맡아 향후 조직개편 과정에 도의 교육 지원 행정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그는 "오히려 이번 기회에 KAI가 군수산업보다 민간 대형항공기산업을 키워 나가고 국가 차원에서 항공우주산업을 추진해야 한다"며 "경남도와 정부가 함께 서부경남에서 항공우주산업이 더욱 경제성 있고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육성되도록 지원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경남경제를 살리기 위한 전방위적 혁신도 주문했다.그는 "그동안 스마트공장 등 제조업혁신을 집중적으로 강조했는데, 이제는 경남의 전반적인 혁신을 넓혀나가야만 경제도 함께 살아날 수 있다"며 "도가 추진 중인 스마트공장, 스마트 산단, 스마트산업으로 이어지는 제조업혁신과 함께 스마트팜, 스마트양식, 스마트항만, 스마트물류, 스마트시티 등 각 분야 스마트산업을 결합해 나가야 한다"며 '스마트 경남'을 강조했다.
특히 "제조업혁신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도 중요하지만, 일자리를 스마트하게 만드는 것이 꼭 필요하다"며 "중소기업도 좋은 일자리가 될 수 있도록 '경남형 스마트 일자리'를 만들어가자"고 당부했다.
김 지사는 그동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줄여나가는 것과 함께 지방정부가 투자를 통해 산단 주변에 보육과 교육 등 주거여건을 개선해 실질적 임금 격차를 해소하는 '경남형 스마트 일자리' 구상을 틈틈이 강조한 바 있다.그는 오는 2일 서울에서 여는 경남도 투자유치설명회와 관련해 "16개 업체, 3조1천300억원 가까운 투자유치협약을 체결할 예정이고 4천300여명의 신규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며 "기업 투자유치과정뿐 아니라 기업 경영 과정에도 경남도가 할 수 있는 지원 서비스가 있다면 수요자 중심의 원스톱 행정서비스를 갖춰달라"고 주문했다.
김 지사는 자신이 국회의원 시절 발의했던 '지역특구법 전면 개정안'이 지난달 20일 국회에서 통과됨에 따라 "경남의 규제자유특구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 경남이 육성해 나가야 할 전략산업과 규제 샌드박스를 어떻게 적절하게 결합할 것인지를 도와 시·군이 긴밀하게 협의하고 연구해야 한다"는 당부도 했다.
그는 "도의 행정은 직접 할 수 있는 행정도 있지만, 그것보다 시·군을 통해 구현해 나가는 부분이 많을 수밖에 없다"며 "시·군의 중장기 비전이 도가 추진하려는 큰 방향과 함께 나아갈 수 있도록 중재·조정·지원하고 중점적으로 고민해 달라"고 말했다.이밖에 김 지사는 경남교육청과 함께 경남교육을 책임지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고민도 내놨다.
그는 "앞으로 교육자치 확대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교육청에만 교육을 맡겨서는 안 된다"며 "교육자치 최종 책임은 도가 맡고 실행은 교육청이 맡아 향후 조직개편 과정에 도의 교육 지원 행정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