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실 있는 국내 MBA 관심 커져… 졸업하면 이론·실무 밝은 인재로"

한국 MBA

MBA 졸업생 좌담회
MBA좌담회. 왼쪽부터 최창은 인바디 부사장, 황익수 성균관대 SKK GSB 재학생, 유용준 듀폰코리아 안전및건설사업부 영업팀 부장, 최낙삼 좋은상품연구소장. 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
‘경영전문대학원(MBA)이 나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

MBA 졸업장이 승진과 이직을 100% 보장하던 시기가 지나가면서 내실 있는 MBA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가성비’ 좋은 국내 대학 MBA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이유다. 각 대학 MBA 과정의 장단점도 관심사다. 국내 주요 대학은 강의시간, 교육내용 등 특색 있는 MBA 과정을 운영 중이다.각 대학 MBA에서 공부 중이거나 최근 졸업한 선배들의 조언은 이 같은 고민을 해소할 실마리가 된다. 한국경제신문이 국내 주요 대학 MBA를 경험한 4인을 만나 이야기를 들었다.

▷MBA를 택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유용준 듀폰코리아 안전및건설사업부 영업팀 부장=전문성을 키우고 싶다는 갈증이 제일 컸습니다. 영업 일만 14년 정도 했는데, 재무나 인재개발(HR), 마케팅 쪽 지식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늘 했죠. 영업 업무는 시장의 전체적 그림을 읽을 줄 아는 감각이 반드시 필요하거든요.

▷최창은 인바디 부사장=공감합니다. 직장 생활을 10년 이상 하면 누구나 갈증이 생기잖아요. 이전에 광고기획 쪽에서 일했는데, 시장이나 소비자에 대한 이해도는 폭넓게 쌓을 수 있었지만 비즈니스 전체를 파악하고 싶다는 갈증이 컸습니다. 그래서 KAIST 프로페셔널MBA에 진학했죠. 사실 원래 있던 곳에서 좀 더 재밌게 일해보자는 취지로 진학했는데 MBA 과정 중간에 좋은 기회를 만나 지금의 직장으로 옮기고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최낙삼 좋은상품연구소장=해산물 식품업체 회사에 상무로 있었는데 직급은 상무인데 회사 전반의 업무가 한눈에 들어오질 않았어요. 제 학부 전공이 국어국문학이라 상품기획을 하고 회사를 운영하는 데 특화된 공부를 하고 싶단 생각이 커졌죠. 사실 외국 대학 MBA도 고려했는데, 회사에서 큰 프로젝트를 맡으면서 떨치고 외국으로 갈 수는 없겠더라고요. 제가 공부한 한양대 MBA 마케팅 트랙은 주말 과정인 데다 학교가 회사 근처라서 제게 ‘맞춤형’이었습니다.▷황익수(성균관대 SKK GSB, 2월 졸업 예정)=꿈을 이루기 위해 진학했습니다. 원래 꿈은 국제기구에서 일하는 거였는데 학교 다니고 군대에 가 있는 동안 ‘내가 처음부터 끝까지 일궈서 한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고 싶다’는 생각이 커졌고 외국계 기업에서 일하고 싶다는 목표가 생겼습니다. 스스로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쌓고 싶단 생각에 MBA 진학을 택했습니다. 성균관대 SKK GSB 풀타임 MBA에서 공부하면서 마케팅이나 세일즈 영역을 심화해서 수강하는 중입니다.

▷각 대학 MBA의 장점을 소개해주신다면.

▷최창은=KAIST 프로페셔널MBA는 3년 과정이라는 게 장점이자 단점이죠(웃음). 학술적인 분위기가 강하죠. 일단 동료들부터 마음가짐이 다를 수밖에 없고요. 2년이 아니라 3년 과정임에도 지원한 사람들은 ‘공부 한 번 제대로 해보자’는 각오가 돼 있는 사람들이니까요.

▷유용준=알토대 EMBA는 해외와 국내 두 가지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단 게 강점입니다. ‘가성비’가 좋죠. 전 세계 3개 인증기관에서 인증받은 MBA 기관이다 보니 이름도 알려져 있고요. 또 국내외 석학들의 강의를 고루 들을 수 있는 것도 특징입니다. 그 대학 소속 교수만 강의하는 게 아니라 핀란드 헬싱키, 미국 플로리다 등 각지에서 해당 분야를 대표하는 교수들이 와서 강의하니까요. 또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도 힘들지만 역량 개발에 큰 도움이 됐습니다. 강북반은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강남반은 강남 KOTRA에서 수업을 듣는데, 강남반은 모든 수업이 영어로 진행되거든요. 특히 외국계 기업을 다니는 분들은 영어 스피치 역량이 필요하잖아요.

▷황익수=성균관대 SKK GSB MBA는 수업 방식 자체가 ‘경험 위주’라는 게 장점입니다. 액션 베이스드 러닝(action based learning)이라고 하죠. 이론도 배우지만 수업마다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하나씩 있어서 문제 해결력을 키우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또 구성원들이 국내에서 제일 글로벌하다고 자부할 수 있죠. 학생 50% 정도가 외국인이고 교수도 반 이상이 해외 출신입니다. 수업은 물론 모두 영어로 진행하고요. 다양한 경험과 문화, 가치관을 자연스레 접할 수 있습니다. 교환프로그램이랑 복수학위제 프로그램이 잘 갖춰져 있는 것도 강점이죠. 미국 인디애나대 캘리스쿨 등 해외 유수대학의 MBA를 경험하고 싶은데 풀타임으로 떠나기는 금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부담이 있다면 이 같은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수 있습니다.

▷최낙삼=한양대 MBA는 각 분야에 특화된 다양한 트랙을 운영 중입니다. 특히 의료경영 트랙은 국내에서 한양대밖에 없었기 때문에 의료 관계자들이 많이 몰린다고 들었습니다. 18개 트랙이 맞춤형으로 마련돼 있는 게 제일 큰 특징이죠.

▷학업과 일을 병행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 같은데요. 어려운 점은 없었는지요.

▷최낙삼=발표도 많고 팀 프로젝트가 많다 보니 아무래도 가족들과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 수밖에 없죠. 주말 나들이는 꿈도 못 꿨고요. 가족들의 지지와 동의가 없으면 쉽지 않아요.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공부할 때 정말 행복감을 느꼈습니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소진된 기분이었는데 공부를 하면서 매주 새로운 영양분을 빨아들이는 즐거움을 만끽했죠.

▷유용준=체력도 필수입니다. 체력적으로 힘들어서 휴학하거나 중간에 포기하는 분들도 있거든요. 저는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과제를 많이 했어요. 매주 팀 과제가 있으니까 출장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휴게소에서 작업해서 팀원들에게 보내주곤 했죠.

▷“MBA가 이직이나 승진을 100% 보장해주는 시대는 지났다”는 말도 있습니다.

▷최창은=과거와는 MBA 개념이 달라졌죠. 2000년대 중반 MBA가 한창 인기 있을 때는 자본개발의 의미가 컸어요. ‘이직해서 연봉 얼마 받겠다’ 이런 결과 중심적인 사고가 강했다면, 이제는 과정과 경험이 중요하죠. 또 어차피 국내 업계에서 일할 생각이라면 해외 MBA를 택할 이유가 적다 보니 ‘내실 있는 국내 MBA’에 관심이 커지고 있고요.

▷최낙삼=흔히 ‘문무를 겸비한다고’들 말하잖아요. 학문적 역량과 실무적 역량을 같이 갖추면 제일 좋은데 그게 MBA 역할이죠.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이 일이 어떤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건가’ 이론적으로 정리할 시기가 한 번쯤은 필요한 것 같아요.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이 허공에서 이뤄지는 게 아니라, 이미 검증된 기반 위에서 하고 있다’는 자신감이 붙죠.

▷MBA 진학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은. ‘그때 이걸 알았더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유용준=모두에게 MBA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힘들고 어려운 과정인 만큼 자신에게 MBA가 필요한지, 왜 필요하고 어떤 역량을 키우고 싶은 건지 진지하게 생각해보길 바랍니다. 그리고 이왕 마음을 먹었다면 망설이지 말라고 조언하고 싶고요. 저는 직장생활 13년차에 시작했는데 ‘회사의 언어를 미리 알았더라면 훨씬 더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7~8년차에 하면 더 좋을 것 같기도 하고요.▷최낙삼=저는 ‘MBA는 전혀 손해 보는 장사가 아니다’고 말해주고 싶어요. 100세 시대, 자신에게 할 수 있는 좋은 투자라고 생각하거든요. 겁먹지 말고 시작하라고 얘기하고 싶어요.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