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계빚 증가속도 세계 3위…가계부채 GDP와 유사

정부가 대출규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한국의 가계빚 증가속도는 세계 최상위권으로 나타났다.

3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올 3월 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5.2%다. 가계부채 규모가 국내 경제 규모와 거의 비슷한 셈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년 전과 비교하면 2.3%포인트 상승했다. 상승폭은 BIS가 집계한 43개 주요국 가운데 중국(3.7%포인트)과 홍콩(3.5%포인트)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지난해 중반부터 정부가 부동산 대책의 일환으로 대출을 옥죄는 정책을 본격 추진했지만 증가세를 막지는 못했다. 주요 대책이 발표되고 난 2017년 9월 말 이후로도 6개월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포인트 올라갔다.홍콩(1.7%포인트) 호주(1.4%포인트) 중국(1.3%포인트)에 이어 상승폭이 세계 4위다. 순위가 한 계단 내려서는 데 그쳤다.

올 1분기에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0.4%포인트 상승하며 중국(0.9%포인트) 스위스(0.6%포인트) 호주(0.5%포인트)에 이어 세계 4위다. 1분기만 놓고 보면 올해 한국 가계부채 비율 상승폭은 2002년(3%포인트) 이래 16년 만에 가장 크다.

정부는 작년에 6·19 대책, 8·2 대책 등 담보인정비율(LTV)을 낮추고 대출심사를 깐깐하게 하는 방안을 내놨다. 10월에는 2018년 신(新) 총부채상환비율(DTI) 도입,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조기 도입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경제 성장세는 둔화된 반면 규제를 피해 신용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 전세대출 등이 늘어나는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이 배경으로 꼽힌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3월말 기준으로 7위다. 스위스(128.3%) 호주(122.2%) 덴마크(117.3%) 네덜란드(104.3%) 노르웨이(101.6%) 캐나다(99.4%) 다음이다.

가계부채는 소득에 비해서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1분기 가계 소득대비 원리금 상환부담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다. BIS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12.2로, 2011년 말과 같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가계부채는 처분가능소득의 약 1.6배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