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관이 손잡은 일본 물류혁명, 한국도 서둘러야
입력
수정
지면A27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일본 국토교통성과 경제산업성이 일본 최대 물류업체인 야마토홀딩스 등과 손잡고 물류업자와 생산업체, 소매점이 주요 상품의 물류 흐름을 공유하는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플랫폼을 구축하면 물류 데이터를 중립적 위치에서 관리하는 공동 출자회사를 설립해 모든 기업이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일본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물류분야 일손 부족 문제를 풀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라는 설명이다.
세계 각국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극 활용하면서 ‘스마트 물류’라는 새로운 흐름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아마존 같은 기업의 부상이 대표적인 사례다. 물류는 국가 경제의 효율성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이기도 하다. 일본 같은 선진국이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정부와 기업이 손잡고 물류 혁신에 나서는 이유다.
세계은행이 2년마다 발표하는 167개국 대상 물류성과지수에 따르면 일본은 날고 있는데 한국은 오히려 뒷걸음질치고 있다. 2016년 12위까지 떨어졌던 일본이 2018년 5위로 올라선 반면, 한국은 2016년 24위로 밀리더니 2018년에는 25위로 한 계단 더 하락했다. 삼성SDS, CJ대한통운 등 일부 국내 기업이 스마트 물류를 이끌고 있지만 산업 전반적으로 보면 혁신 투자가 공격적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물류에 대한 후진적인 인식의 잔존, 물류산업 구조개혁 방향이 불확실한 점, 새로운 물류 실험과 신기술 활용을 가로막는 법·제도의 경직성 등도 문제다. 우리나라도 더 늦기 전에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4차 산업혁명 시대 물류의 비전을 공유하고 이를 실행에 옮길 전략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세계 각국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극 활용하면서 ‘스마트 물류’라는 새로운 흐름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아마존 같은 기업의 부상이 대표적인 사례다. 물류는 국가 경제의 효율성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이기도 하다. 일본 같은 선진국이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정부와 기업이 손잡고 물류 혁신에 나서는 이유다.
세계은행이 2년마다 발표하는 167개국 대상 물류성과지수에 따르면 일본은 날고 있는데 한국은 오히려 뒷걸음질치고 있다. 2016년 12위까지 떨어졌던 일본이 2018년 5위로 올라선 반면, 한국은 2016년 24위로 밀리더니 2018년에는 25위로 한 계단 더 하락했다. 삼성SDS, CJ대한통운 등 일부 국내 기업이 스마트 물류를 이끌고 있지만 산업 전반적으로 보면 혁신 투자가 공격적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물류에 대한 후진적인 인식의 잔존, 물류산업 구조개혁 방향이 불확실한 점, 새로운 물류 실험과 신기술 활용을 가로막는 법·제도의 경직성 등도 문제다. 우리나라도 더 늦기 전에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4차 산업혁명 시대 물류의 비전을 공유하고 이를 실행에 옮길 전략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