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 거주·고소득자일수록 난민거부 비율 높다"
입력
수정
IOM이민정책연구원 보고서…찬반여론 50:48로 팽팽
난민 수용을 둘러싼 우리나라 국민의 찬성-반대 여론은 팽팽한 가운데 대도시 거주자와 고소득자의 난민거부 비율이 다른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11일 IOM(국제이주기구)이민정책연구원 장주영 부연구위원이 지난 5월에 펴낸 '난민에 대한 태도 이해: 난민을 이웃으로 삼고 싶습니까?" 이슈브리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난민을 이웃으로 삼고 싶습니까"라는 질문에 찬성한 비율은 50%, 반대한 비율은 48%다.
보고서는 지난 2015년 여성가족부의 '국민다문화수용성조사 연구' 자료를 활용해 이같이 분석했다.
국민다문화수용성조사 연구는 만 19세∼74세의 우리나라 국민 4천명을 대상을 진행한 전국 단위의 통계 조사다.장 부연구위원은 해당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유에 대해 "이 조사 결과는 난민 수용이 사회적 이슈가 되기 이전 자료지만 난민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가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데는 대표성 있는 응답 자료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성별로는 남성의 46%, 여성의 50%가 난민을 이웃으로 삼고 싶지 않다고 답했으며 연령별로는 60세 이상(55%), 학력별로는 중학교 학력 이하의 소지자(57%)의 난민 수용 거부 비율이 높았다.
장 부연구위원은 대도시 외곽에 거주하거나 소득 수준이 낮은 집단이 난민을 꺼리는 비율이 높은 외국 연구와는 달리 우리나라는 대도시 거주자(52%), 500만원 이상 고소득자의 난민 수용 거부 비율(51%)이 다른 집단에 비교해 가장 높다는 점이 눈에 띈다고 지적했다.아울러 우리나라 국민은 '세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도적 책임' 등이 거론된 추상성이 높은 질문일수록 긍정적으로 답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에 대해 그는 "어려움을 겪는 인류를 어떠한 방식으로든 지원하는 것은 세계 시민적 관점에서 중요한 과제이지만 그들을 우리 사회에 수용하는 것은 쉽게 결정할 수 없다는 의견을 드러낸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장 부연구위원은 난민에 대한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난민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는 "조사 결과 외국인과의 교류경험, 한국 정치·법 제도에 대한 외국민 주민의 존중과 한국사회 소속감, 외국인 주민 합법적 체류 여부 등은 난민 수용에 대한 태도 형성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라며 "이를 난민 정책 방향 설정의 중요한 요인으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난민 수용을 둘러싼 우리나라 국민의 찬성-반대 여론은 팽팽한 가운데 대도시 거주자와 고소득자의 난민거부 비율이 다른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11일 IOM(국제이주기구)이민정책연구원 장주영 부연구위원이 지난 5월에 펴낸 '난민에 대한 태도 이해: 난민을 이웃으로 삼고 싶습니까?" 이슈브리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난민을 이웃으로 삼고 싶습니까"라는 질문에 찬성한 비율은 50%, 반대한 비율은 48%다.
보고서는 지난 2015년 여성가족부의 '국민다문화수용성조사 연구' 자료를 활용해 이같이 분석했다.
국민다문화수용성조사 연구는 만 19세∼74세의 우리나라 국민 4천명을 대상을 진행한 전국 단위의 통계 조사다.장 부연구위원은 해당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유에 대해 "이 조사 결과는 난민 수용이 사회적 이슈가 되기 이전 자료지만 난민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가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데는 대표성 있는 응답 자료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성별로는 남성의 46%, 여성의 50%가 난민을 이웃으로 삼고 싶지 않다고 답했으며 연령별로는 60세 이상(55%), 학력별로는 중학교 학력 이하의 소지자(57%)의 난민 수용 거부 비율이 높았다.
장 부연구위원은 대도시 외곽에 거주하거나 소득 수준이 낮은 집단이 난민을 꺼리는 비율이 높은 외국 연구와는 달리 우리나라는 대도시 거주자(52%), 500만원 이상 고소득자의 난민 수용 거부 비율(51%)이 다른 집단에 비교해 가장 높다는 점이 눈에 띈다고 지적했다.아울러 우리나라 국민은 '세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도적 책임' 등이 거론된 추상성이 높은 질문일수록 긍정적으로 답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에 대해 그는 "어려움을 겪는 인류를 어떠한 방식으로든 지원하는 것은 세계 시민적 관점에서 중요한 과제이지만 그들을 우리 사회에 수용하는 것은 쉽게 결정할 수 없다는 의견을 드러낸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장 부연구위원은 난민에 대한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난민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는 "조사 결과 외국인과의 교류경험, 한국 정치·법 제도에 대한 외국민 주민의 존중과 한국사회 소속감, 외국인 주민 합법적 체류 여부 등은 난민 수용에 대한 태도 형성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라며 "이를 난민 정책 방향 설정의 중요한 요인으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