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늘었는데 대비 소홀…기상청 연구예산 중 0.5%만 폭염에"

신창현 국감자료 "폭염특보, 연령별·소득수준별 세분화 필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은 지난 10년간 한반도의 폭염일수가 지속해서 늘었는데도 기상청이 적극적 대비를 하지 않았다고 14일 말했다.신 의원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국 평균 폭염일수는 2009년 4.2일에서 올해(9월말 기준) 31.5일로 급증했다.

또 연 최고기온도 2009년 33.8도에서 올해 38.0도까지 상승했다.
하지만 기상청은 폭염 대비 예보 시스템 개선이나 폭염 원인 연구에는 소홀했다고 신 의원은 지적했다.기상청은 지난 10년간 연구개발(R&D) 예산으로 총 9천716억원을 투입했지만, 폭염과 관련한 연구예산은 전체의 0.5%인 53억7천400만원으로 집계됐다.

또 작년에서야 폭염연구센터를 열어 중장기 폭염예보 시스템 개발에 나섰다.

아울러 기상청이 발령하는 폭염특보의 일치율(전체 특보 중 맞아떨어진 비율)은 2012년 82.1%에서 2016년 78.1%로 떨어졌지만, 기상청은 지난해와 올해 자료의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고 신 의원은 밝혔다.특보 발령 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리나라는 2008년 온열질환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는 구간인 33도(35도)와 열지수 32도(41도)가 이틀 이상 지속할 것으로 예상할 때 폭염주의보(경보)를 발령하는 폭염특보를 도입했다.

반면 일본 등 다른 나라들은 5일 뒤부터 7일간 평균기온이 특정 기온을 초과할 확률이 30% 이상 예상될 때 열사병주의를 발령하는 '이상기후 조기경계 정보'를 운용하는 등 폭염 단기·중기예보를 하고 있다.영국은 시민들에게 4단계에 걸쳐 폭염 대비신호를 보낸다
신 의원은 "폭염특보를 각 지역의 기상·사회·환경 여건에 따라 연령별·소득 수준별로 나누는 등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