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탈북민 출신 기자 남북회담 취재 배제 논란
입력
수정
![](https://img.hankyung.com/photo/201810/AB.18006615.1.jpg)
취재에서 배제된 기자는 2002년 탈북한 김명성 조선일보 기자(사진)다. 2013년부터 남북관계 분야를 취재해 오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오전 6시30분께 통일부 기자단에 “조선일보에서 풀 취재 기자를 김 기자에서 다른 기자로 변경하지 않으면 통일부에서는 풀 취재단에서 배제할 방침”이라고 통보했다. 이 당국자는 별다른 이유 설명 없이 “한정된 공간에서 고위급회담이 열리는데, 김 기자가 활발한 활동을 해서 널리 알려졌으니 언론을 제한한다기보다는 특수한 상황에서 필요한 조치라고 판단해 협조를 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북측의 이의 제기는 없었고 자체적으로 종합적으로 판단한 것”이라고 말해 회담 전부터 북한에 과도하게 고개를 숙인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통일부 기자단은 평양과 개성, 금강산 지역 등 방북 취재가 필요할 때와 북한 주요 인사의 방남 등 남북관계의 특수성에 따라 취재 환경이 제한될 때 순번제에 따른 풀 취재단을 운영하고 있다. 기자단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풀 취재단의 구성을 정부 당국에서 특별한 이유 없이 간섭한 건 선례가 거의 없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이날 오전 7시15분께 김 기자와 면담하면서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판단한 것이며 책임은 내가 지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상황이 무엇인지, 책임을 어떻게 질 것인지에 대해선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김 기자는 “북한 김정은 체제에서 출신 성분과 정치 성향을 따지는 행태와 무엇이 다른지 모르겠다”며 “북한을 떠나온 지 20년이 다 되어 가는데 이런 일을 겪으며 탈북민 출신이란 아픔을 또 다시 겪는 게 너무나도 슬프고 안타깝다”고 말했다. 또 “지금까지의 정황으로 봐선 내가 탈북민 출신이기 때문에 통일부 내에서 차별당한 것이란 해석밖엔 안 되는 듯하다”고 덧붙였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