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영국·캐나다의 AI인재 확보 전략, 따라해 볼 만하다
입력
수정
지면A31
법무법인 율촌과 한경이 그제 공동 개최한 ‘아시아 미래 AI포럼’에서 인공지능(AI) 인재 확보를 위한 논의가 활발했다. 그중에서도 ‘신흥 AI 허브’로 급부상한 영국과 캐나다를 배우자는 제안이 눈길을 끌었다. 영국과 캐나다는 AI 인재 수에서 선두 미국에 이어 2·3위로 평가받는 나라다.
민간 주도인 미국, 국가 주도인 중국과 달리 두 나라는 민간이 앞서고 정부가 미는 민관협력모델로 AI 강국이 됐다. 영국의 유명 대학들은 2015년 AI 연구소를 공동 설립했다. 한국으로 치면 서울대 KAIST 포스텍 등이 힘을 합쳐 연구소를 낸 셈이다. 기업들은 AI 인재 육성을 위해 대학 박사과정에 6000만파운드(약 900억원)의 장학금을 조성했다. 최고의 연구자를 초빙하기 위한 ‘AI 튜링 펠로십’에도 자금을 댔다. 정부 역시 올해 초 ‘AI 섹터딜’이라는 국가 전략을 만들어 적극 지원에 나섰다. ‘황금 비자’로 불리는 ‘티어1 비자’를 연 2000여 명의 AI 인재에게 내주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캐나다는 대학 중심의 AI 생태계 구축에 성공했다. 미국에서 “왜 우리가 캐나다에 밀렸나”라는 언론보도가 줄을 이을 정도로 막강한 AI 연구역량을 축적했다는 평가다. 대학에 몸담고 있는 AI 분야 석학들에 대한 꾸준한 지원과 관리가 성공 비결이다. 좋은 교수 아래에서 배출되는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글로벌 기업들이 캐나다로 몰려들고 있다. 삼성전자가 전 세계 7곳에 운영 중인 AI 연구소 중 2곳이 캐나다(토론토, 몬트리올)에 터를 잡은 배경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성패가 AI 인재 확보에서 갈릴 것임은 불문가지다. 세계의 패권을 노리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후진타오 때의 해외 인재 유치 프로그램 ‘천인(千人) 계획’을 ‘만인(萬人) 계획’으로 확대한 데서도 잘 드러난다. 한국의 AI 핵심 인재는 160여 명으로, 수요에 비해 절대 부족하다. 그들조차 거액 연봉을 약속하는 미국 중국 등의 해외 기업으로 속속 유출되고 있다. ‘브레인 드레인’(두뇌 유출) 탓에 삼성전자 SK텔레콤 등 대기업 최고위층들이 직접 해외 채용시장을 전전하는 실정이다. 대부분 기업들도 ‘적합한 AI 인재를 찾기 어렵다’고 호소하고 있다. 한발 늦게 출발해 성공스토리를 쓴 영국과 캐나다의 AI 전략을 공부해야 할 이유다.
민간 주도인 미국, 국가 주도인 중국과 달리 두 나라는 민간이 앞서고 정부가 미는 민관협력모델로 AI 강국이 됐다. 영국의 유명 대학들은 2015년 AI 연구소를 공동 설립했다. 한국으로 치면 서울대 KAIST 포스텍 등이 힘을 합쳐 연구소를 낸 셈이다. 기업들은 AI 인재 육성을 위해 대학 박사과정에 6000만파운드(약 900억원)의 장학금을 조성했다. 최고의 연구자를 초빙하기 위한 ‘AI 튜링 펠로십’에도 자금을 댔다. 정부 역시 올해 초 ‘AI 섹터딜’이라는 국가 전략을 만들어 적극 지원에 나섰다. ‘황금 비자’로 불리는 ‘티어1 비자’를 연 2000여 명의 AI 인재에게 내주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캐나다는 대학 중심의 AI 생태계 구축에 성공했다. 미국에서 “왜 우리가 캐나다에 밀렸나”라는 언론보도가 줄을 이을 정도로 막강한 AI 연구역량을 축적했다는 평가다. 대학에 몸담고 있는 AI 분야 석학들에 대한 꾸준한 지원과 관리가 성공 비결이다. 좋은 교수 아래에서 배출되는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글로벌 기업들이 캐나다로 몰려들고 있다. 삼성전자가 전 세계 7곳에 운영 중인 AI 연구소 중 2곳이 캐나다(토론토, 몬트리올)에 터를 잡은 배경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성패가 AI 인재 확보에서 갈릴 것임은 불문가지다. 세계의 패권을 노리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후진타오 때의 해외 인재 유치 프로그램 ‘천인(千人) 계획’을 ‘만인(萬人) 계획’으로 확대한 데서도 잘 드러난다. 한국의 AI 핵심 인재는 160여 명으로, 수요에 비해 절대 부족하다. 그들조차 거액 연봉을 약속하는 미국 중국 등의 해외 기업으로 속속 유출되고 있다. ‘브레인 드레인’(두뇌 유출) 탓에 삼성전자 SK텔레콤 등 대기업 최고위층들이 직접 해외 채용시장을 전전하는 실정이다. 대부분 기업들도 ‘적합한 AI 인재를 찾기 어렵다’고 호소하고 있다. 한발 늦게 출발해 성공스토리를 쓴 영국과 캐나다의 AI 전략을 공부해야 할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