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월후 일감 '0'…고사 위기 내몰린 원전산업

신고리 5,6호기 기자재 납기 임박…사실상 마지막 일감
해외 수주에 성공 하더라도 3~4년간 '일감절벽' 불가피
기자재·설계 기술 뒤처져 산업 생태계 붕괴될 우려
원자력발전산업의 핵심인 기자재·설계 분야 업체들은 내년 9월이면 일감이 사실상 바닥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우디아라비아, 영국 등에 원전을 수출하더라도 2022~2023년에야 제작 업무가 가능해 상당 기간 ‘일감절벽’이 불가피하다. 원전업계에선 일감이 끊기면 원전산업 생태계 자체가 무너질 위험이 크다고 우려한다. 탈(脫)원전 정책의 속도를 조절해 산업 생태계 붕괴를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22일 한국수력원자력과 원자력업계에 따르면 마지막 신규 원전인 신고리 5, 6호기의 기자재 납기는 내년 9월께다. 원래는 내년 4월이었으나 한수원은 신고리 5, 6호기 공론화위원회 활동으로 공사가 중단됐던 점을 감안해 납기를 5개월 정도 늘려주기로 했다.
◆내년 9월이면 일감 ‘뚝’

원전 기자재·설계 업체들에 신고리 5, 6호기가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사실상 마지막 물량이기 때문이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신고리 5, 6호기를 제외한 신규 원전 사업은 대부분 백지화됐다.

국내 최대 민간 원전 업체인 두산중공업의 한 관계자는 “원자로 설비와 터빈 발전기 등 주력기기를 생산하는 우리 회사는 신규 원전 일감 비중이 절대적”이라며 “신고리 5, 6호기 업무가 끝나면 일감이 끊긴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원전 보조기기를 납품하는 한 중소기업 관계자도 “하루하루 막다른 절벽으로 떠밀려 가는 느낌”이라며 “장비 교체·정비에 쓰는 예비품 시장으로 갈 수도 있으나 그쪽도 경쟁이 심하기 때문에 원전 사업을 접을까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이들 회사의 유일한 희망은 사우디나 영국 등으로의 수출인데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 중국, 러시아, 프랑스 등과의 경쟁이 치열한 데다 내년 초 수주에 성공한다 해도 실제 일감은 3~4년 뒤에야 떨어지기 때문이다. 내년 9월부터 2022~2023년까지 최소 2년간 일감 공백을 피할 수 없다는 얘기다.

가장 큰 타격을 입는 쪽은 주력기기와 보조기기를 제작하는 기자재 업체와 한국전력기술 같은 설계 업체다. 이들은 시공이나 운영, 정비 서비스 등 다른 분야보다 원자력산업에 특화돼 있고 신규 원전 건설이 없으면 사업을 계속 이어가기 힘들다.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에 따르면 국내 원전 기자재·설계 업체 수는 742개다. 전체 원자력 관련 업체 1408개의 52.7%에 이른다.◆“신한울 3, 4호기 건설 재개해야”

기자재 제작과 설계는 원전산업의 핵심이기도 하다. 미국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은 한국형 원전 모델 ‘APR1400’은 이들 업체가 수십 년간 연구개발한 결과물이다.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의 한 관계자는 “기자재·설계 업체들이 일감절벽을 견디지 못해 사업을 포기하거나 도산한다면 전체 원전산업 생태계가 무너지고 APR1400도 사장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원자력업계와 전문가들은 탈원전 정책을 되돌릴 수 없다면 산업이 붕괴되지 않게 최소한의 연착륙 방안이라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표적 방안이 신한울 3, 4호기 건설 재개다. 신한울 3, 4호기는 건설이 중단된 다른 신규 원전과 달리 주력기기 제작까지 들어간 상태였고 아직 한수원 이사회에서 최종 취소 결정을 내리지 않은 상태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탈원전을 하더라도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산업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속도로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추진하는 원전 수출 확대를 위해서라도 신한울 3, 4호기 건설을 재개해 산업 생태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