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터뷰] 김서준 해시드 대표 "블록체인, 한국에 주어진 얼마 안 남은 기회"
입력
수정
2018 코리아 블록체인 엑스포“저는 ‘미래’가 정해져 있다고 봐요. 기술과 문명 발전의 거시적 시각에서 탈중앙화 사회로의 변화는 자연스러운 흐름입니다. 인터넷이 그랬고, 이제 블록체인이 그렇죠. 막을 일이 아니에요. 특히 한국은 더 빠르게 움직여야 합니다.”
'탈중앙화' 미래는 이미 정해져 있다
"리스크 감수하고 빠르게 움직일 때"
블록체인 액셀러레이터(스타트업 투자·육성업체) 해시드 김서준 대표(사진)는 한경닷컴과의 인터뷰에서 블록체인이 한국에 주어진 얼마 남지 않은 기회임을 거듭 강조했다. 전통적 제조업에서 후발국들에 쫓기고, 4차 산업혁명 각 분야에서는 미국·일본·중국 등에 뒤지는 터라 블록체인 산업이 한국에 맞춤한 신성장동력이 될 것이란 이유에서다.김 대표는 23~24일 열리는 ‘2018 코리아 블록체인 엑스포’에서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이 주목하는 한국의 위기와 기회’를 주제로 강연한다.
그는 한국의 위기 요인으로 ‘불분명한 규제’를 첫 손에 꼽았다. 김 대표는 “블록체인 시장에서 가장 큰 걸림돌은 기술이 아니다. 기술적 결함이 있더라도 해결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며 “결국 규제가 관건이다. 어느 국가와 지역이 블록체인 산업 및 생태계를 어떻게 바라보고 지원해주느냐가 혁신가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지난해 발표된 암호화폐 공개(ICO) 금지가 대표적 사례다. 추가 입장을 내놓겠다던 정부는 1년이 지나도록 소식이 없다. 그는 현행 ICO 금지는 제대로 된 규제가 아니라고 봤다. 암호화폐 투기 등의 문제로 막아놓은 임시처방일 뿐이기 때문이다. 합법과 불법을 가리기 어려운 ‘회색지대 방치’라는 얘기다.따라서 국내에서도 ICO를 할 수 있게끔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김 대표는 “당장 법제화를 논의하자는 것은 아니다. 정부가 산업 육성 의지를 확실히 밝히고 보증하는 차원에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달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ICO를 많이 하는 싱가포르가 그 같은 형태라고 귀띔했다.이번 엑스포는 이를 위한 사회적 합의 도출의 장(場)이란 의의가 크다. 기획 단계부터 적극 아이디어를 낸 그는 “산업계뿐 아니라 정부·국회·지자체가 한국의 블록체인 정책 및 규제에 대한 고민과 방향을 공유하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 한국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친화도와 안정감이 올라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보다 과감한 액션도 주문했다. 지금 한국이 앞서가는 분야는 콘텐츠·엔터테인먼트 산업 정도다. 그것만으로는 부족하지 않을까. 김 대표는 “K-팝이나 게임만 갖고 한국이 성장할 수 있겠느냐”면서 “새롭게 한국을 ‘아시아 블록체인 허브’로 키워야 한다”고 제안했다.스타트업처럼 리스크(위험성)를 감수하고 발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는 쓴소리다.
“스타트업이 대기업을 이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명확한 전략을 세워 빠르게 실행해야죠. 그런데 지금 한국이 선진국보다 느리거든요. 그래선 안 됩니다. 미국·중국과 똑같이 움직이면 굳이 한국 시장으로 올 이유가 없으니까요.”
김 대표는 “태생부터 글로벌 산업인 블록체인은 국가 단위에서 막아도 결국 들어오게 된다. 그럴 바에야 기존 사업 분야와 다소 충돌하는 부분이 있어도 가능성 큰 글로벌 스탠더드 기술·플랫폼은 정책적으로 길을 터줘 키우자는 취지”라고 역설했다. “단지 국내에서 ‘우리끼리 잘해보자’ 수준을 넘어 아시아에서 블록체인 사업을 하려면 한국에 오지 않으면 안 되게 해보자”고도 했다.정책 당국의 분위기가 조금씩 바뀌는 점을 들어 긍정적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행정부는 아직 조심스럽지만 이제 입법부는 블록체인이 한국에 기회임을 상당 수준 인지하고 있다”면서 “이번 엑스포 등을 계기로 블록체인 산업에 대한 정부의 인식 변화를 강하게 견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10월23~24일 '2018 코리아 블록체인 엑스포'가 열립니다. 국내외 정부 및 기업, 관련 업계 주요인사들이 참여해 '블록체인 프론티어 코리아' 비전을 전 세계에 공유합니다. 클릭하면 공식 홈페이지에서 참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사진=최혁 한경닷컴 기자 choko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