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 너도나도 '국제도시'…외국인은 1%에 불과

명칭 변경만 반복…"이름보다 인프라 구축이 우선"
송도·영종·청라 등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3개 권역이 모두 '국제도시'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지구의 이름을 '영종국제도시'로 변경하는 내용을 담아 개발계획 변경 고시를 했다고 23일 밝혔다.

인천경제청은 영종지구 개발면적 51㎢ 중 영종 지역이 96%의 비중을 차지하는 데다 송도와 청라처럼 국제도시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싶어하는 영종 주민 여론 등을 고려해 명칭 변경을 추진했다.

국제도시라는 이름을 달기 위한 전제 조건은 특별히 없다.인천경제청은 개발계획 변경 고시로 경제자유구역 내 사업지구별 명칭을 바꿀 수 있다.

청라는 2011년 9월, 송도는 2014년 1월부터 국제도시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국제도시라는 이름에 걸맞은 외국인 정주 환경 등을 갖춰놓지 않은 상태에서 명칭 변경만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지난달 기준으로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외국인 비율은 1.8%에 불과하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전체 인구 29만7천915명 중 외국인은 5천361명뿐이다.

지역별로는 송도의 외국인 거주 비율이 2.5%로 가장 높고, 영종은 1.8%, 청라는 0.9%다.외신도 인천경제자유구역이 국제도시의 면모를 충분히 갖췄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평가한다.

뉴욕타임스(NYT)는 올해 4월 스마트시티 전문가 발언을 인용해 송도국제도시를 "선진화된 연결성을 자랑하지만, 국제적 비즈니스나 외국인 거주자를 불러온다는 기대를 충족하는 데는 실패했다"고 평가했다.

송도를 방문한 적이 있다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 랩 데이비드 로즈 연구원은 이 기사에서 "송도는 미래에 대한 공상 속에 만들어졌지만 인류가 자리 잡고 싶은 장소로 보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올해 3월 송도에 대해 보도하면서 '고스트 타운'과 '체르노빌 같은 공허함'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도시별 특징이나 지향점에 대한 고민 없이 국제도시라는 획일적인 이름을 쓰는 것은 경계해야 할 부분"이라며 "국제도시라는 이름에 상응하는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명칭만 변경하면 외부의 기대심리만 높여 오히려 역풍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