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美 소강국면서 김정은 방러 임박설…한반도 정세 변수되나

北 외무성 부상 러시아행 주목…北 '배후 다지기' 가능성
9월 시진핑 방북 저지했던 美, 어떤 반응 보일지 관심
북미 고위급 회담과 실무협상이 미뤄지는 분위기 속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여부가 한반도 정세의 새 변수로 부상하고 있어 보인다.28일 외교 소식통들은 북한의 대(對) 러시아 외교 담당인 신홍철 외무성 부상이 27일(현지시간) 러시아를 방문한 것은 김정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머지않았음을 보여주는 신호일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촉각을 곤두세운다.

한 외교 소식통은 김 위원장이 본격적인 북미대화 재개 이전에 러시아를 방문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모스크바 현지 외교 소식통도 "신홍철 부상이 (이번 주 초로 예정된) 이고리 모르굴로프 러시아 외교차관과의 회담에서 북러 양자 현안들과 함께 김 위원장의 방러 문제를 논의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올해 들어 남한·미국·중국 정상과 총 7차례 회담한 김 위원장 입장에서 보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연내 방북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그의 러시아 방문을 통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은 올 한해 마지막 정상외교 과제가 될 수 있다.

러시아도 지난 5월 말 평양을 방문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을 통해 김 위원장이 9월 블라디보스토크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하든지 아니면 별도로 러시아를 방문해 달라고 요청하는 등 적극적으로 요청했다.

김 위원장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 성사에 집중하는 동안 러시아 방문 카드는 뒷순위로 밀리는 듯했지만 북미정상회담이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진 상황에서 다시 급물살을 타는 형국이다.우선 김 위원장으로서는 미국과의 일대 담판을 앞두고 중국과 함께 러시아를 자신들의 배후 지지세력으로 잡아두는 데 관심이 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러시아가 중국과 함께 유엔 안보리에서 대북제재 완화 목소리를 내는 상황에서 김 위원장은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을 통해 양국관계를 더욱 확고히 다지려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향후 북미 협상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대북제재 완화와 관련해 러시아가 강력한 지지자가 되어 달라고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더불어 대북제재 완화 때 가능한 북한-러시아 경제협력 사업을 정상회담서 논의함으로써 북미대화가 좌초할 때를 대비한 '보험'을 드는 효과도 노릴 수 있다.

푸틴 대통령으로서는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 논의의 장(場)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을 목소리를 회복해 동북아 외교 입지를 확대하는 한편 북한을 대미 지렛대로 만들 의도가 있어 보인다.

결국, 북한-러시아 관계 강화는 11월 6일 미국 중간선거 이후 비핵화와 상응 조치를 놓고 본격화할 전망인 북미대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러시아를 지원군 삼은 북한의 협상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외교가에선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방러 움직임에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어떤 태도를 보일지에 주목한다.

9월 9일 북한 정권수립 70주년(9·9절) 계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가능성이 제기됐을 때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해 미 조야에선 이른바 '중국 배후론'(북한이 비핵화 조치에 적극성을 보이지 않는 배경에 중국이 있다는 주장)을 강력히 거론하고 중국을 경계함으로써 시 주석의 9·9절 방북은 결국 무산됐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트럼프 미 행정부가 김 위원장의 방러 움직임에도 견제 섞인 시각으로 볼 것이라는 견해를 내놓는다.

아울러 트럼프 미 행정부가 9월 중국을 상대로 했던 것처럼 강한 견제구를 던질지에 대해 주목한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 연구위원은 28일 "김정은 위원장으로서는 자신들 후방의 우군을 먼저 튼튼히 한 뒤 적진에 뛰어들려는 듯한 모습"이라며 "미국으로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최근 방중했을 때도 반대할 명분이 없었듯 이번에도 저지하고 나설 명분은 찾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한 외교 소식통은 "러시아나 중국도 대북제재 틀을 노골적으로 무시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을 미국이 대놓고 반대하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