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3명 중 1명은 대졸…여성 비중 55%로 역대 최고
입력
수정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형태 부가조사…60세 이상 비중 가장 높아
대졸 비정규직이 작년보다 3만8천명 증가했고 여성 비정규직 비율은 55%를 넘어서 조사 시작 이래 가장 높았다.통계청은 30일 이와같은 내용이 담긴 '2018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 661만4천명을 교육 정도별로 보면 고졸이 291만3천명(44.0%)으로 가장 비중이 컸다.
대졸이상은 217만8천명(32.9%), 중졸이하 152만3천명(23.0%) 순이었다.대졸이상 비정규직은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대졸이상이 1년 전보다 3만8천명 증가하는 동안 중졸이하는 3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고, 고졸은 5천명 감소했다.
성별로 보면 여성이 55.6%로 남성(44.4%)보다 11.2%포인트 높았다.여성 비중은 1년 전보다 0.4%포인트 올라갔다.
2003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고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24.9%)이 가장 많았고 50대(21.8%), 40대(19.0%) 순이다.1년 전에 비해 60세 이상은 12만6천명, 50대 1만9천명, 30대 1만1천명 증가한 반면 40대는 5만8천명, 20대는 3만3천명, 10대는 2만9천명 감소했다.
조사 시점에 청년층 고용상황이 좋지 않다 보니 10∼20대 비정규직도 감소했다고 통계층은 풀이했다.
산업별로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84만6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83만7천명, 건설업 81만5천명 순으로 많았다.
작년 동기에 비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 11만8천명, 건설업에서 2만7천명 늘어났지만,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에서 4만8천명, 도매 및 소매업에서 3만7천명 줄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간병인·요양보호사 등에서 취업자가 늘어나면서 여성과 65세 이상 비정규직 비중이 늘었다"고 분석했다.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종사자가 208만2천명,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104만4천명, 서비스종사자 96만1천명 순이다.
1년 전과 비교해 보면 단순노무종사자에서 5만1천명, 서비스종사자에서 4만3천명 증가했다.반면 판매종사자에서 5만1천명,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에서 3만5천명 감소했다.
/연합뉴스
대졸 비정규직이 작년보다 3만8천명 증가했고 여성 비정규직 비율은 55%를 넘어서 조사 시작 이래 가장 높았다.통계청은 30일 이와같은 내용이 담긴 '2018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 661만4천명을 교육 정도별로 보면 고졸이 291만3천명(44.0%)으로 가장 비중이 컸다.
대졸이상은 217만8천명(32.9%), 중졸이하 152만3천명(23.0%) 순이었다.대졸이상 비정규직은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대졸이상이 1년 전보다 3만8천명 증가하는 동안 중졸이하는 3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고, 고졸은 5천명 감소했다.
성별로 보면 여성이 55.6%로 남성(44.4%)보다 11.2%포인트 높았다.여성 비중은 1년 전보다 0.4%포인트 올라갔다.
2003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고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24.9%)이 가장 많았고 50대(21.8%), 40대(19.0%) 순이다.1년 전에 비해 60세 이상은 12만6천명, 50대 1만9천명, 30대 1만1천명 증가한 반면 40대는 5만8천명, 20대는 3만3천명, 10대는 2만9천명 감소했다.
조사 시점에 청년층 고용상황이 좋지 않다 보니 10∼20대 비정규직도 감소했다고 통계층은 풀이했다.
산업별로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84만6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83만7천명, 건설업 81만5천명 순으로 많았다.
작년 동기에 비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 11만8천명, 건설업에서 2만7천명 늘어났지만,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에서 4만8천명, 도매 및 소매업에서 3만7천명 줄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간병인·요양보호사 등에서 취업자가 늘어나면서 여성과 65세 이상 비정규직 비중이 늘었다"고 분석했다.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종사자가 208만2천명,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104만4천명, 서비스종사자 96만1천명 순이다.
1년 전과 비교해 보면 단순노무종사자에서 5만1천명, 서비스종사자에서 4만3천명 증가했다.반면 판매종사자에서 5만1천명,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에서 3만5천명 감소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