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으로 車가 달리네…현대·기아차 '솔라시스템' 공개
입력
수정
지면A17
선루프·보닛 등에 태양전지 부착
5년내 친환경차에 도입 목표

솔라시스템은 태양광 에너지를 저장해 차량의 주행거리를 늘리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준다.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카 같은 친환경차는 물론 내연기관 자동차도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해 연비를 높일 수 있다. 솔라시스템은 솔라패널과 제어기, 배터리 등으로 구성된다. 태양광이 솔라패널 표면에 닿아 에너지가 발생하면 제어기가 이를 기준전압으로 바꿔 배터리에 저장한다.
현대·기아차는 1세대 실리콘형 솔라루프와 2세대 반투명 솔라루프, 3세대 차체형 경량 솔라리드 등 세 가지 형태의 솔라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하이브리드카에 적용할 예정인 1세대 솔라루프는 일반 차체 지붕에 양산형 실리콘 태양전지를 장착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다. 계절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하루 평균 30~60%가량의 배터리를 태양광을 이용해 충전할 수 있다.
2세대 반투명 솔라루프는 투과·개폐형 옵션으로 개발된 반투명 태양전지를 파노라마 선루프에 부착하는 식이다. 1세대와 달리 투광성을 확보해 개방감을 준다. 반투명 솔라루프는 현대·기아차가 세계 최초로 양산에 도전하는 기술이다. 5년 내 내연기관차에 도입하는 것이 목표다. 내장 배터리나 추가로 장착한 태양광 배터리에 에너지를 모아 주행에 이용하는 원리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내연기관차가 주행 시 내뿜는 이산화탄소를 줄여 날로 강화되고 있는 글로벌 환경 규제를 충족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3세대 차체형 경량 솔라리드는 차량 후드(보닛)와 지붕에 들어가는 강판 자체에 태양전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패널을 차량에 부착하지 않아도 돼 차량 외관 디자인을 해치지 않는다. 친환경차에 탑재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자동차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기계를 넘어 능동적으로 생산하는 발전소로 진화하고 있다”며 “솔라시스템 등 다양한 에너지 생성 기술을 자동차에 접목해 친환경차 기술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